회고록 출간 계기로 2년만에 국정현안 볼륨 높일 태세MB측 “국정경험 공유차원” 불구 ‘훈수정치’ 논란예고

연합뉴스

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연합뉴스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율이 새해 들어 거푸 최저점을 경신하는 시점에 공교롭게도 회고록이 발간되자 정치권에서는 여러 추측과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그동안 이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개인 사무실을 내는 시기도 조심스럽게 정하고, 정치·경제 현안에 대해서는 일절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등 극도로 조용한 행보를 보여왔던 터여서 회고록 출간을 전후한 공개행보가 심상치않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청와대 김두우 전 홍보수석비서관은 3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 출간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현실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면서도 “재임 중 이루지 못한 개헌, 선거구제 개편 등에 대해 언젠가 표현할 기회가 오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전 수석은 “이 전 대통령은 동서의 지역감정을 희석시키는 정치적 액션을 하고 싶어 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 전 대통령은 재임 중반 이후 당시 이재오 특임장관을 통해 부단히 개헌을 추진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이 의원은 현재도 국회에서 ‘개헌 전도사’로 통한다.
만약 이 전 대통령이 김 전 수석의 말대로 이번 회고록과 같이 당시 상황을 소개하며 어떤 형태로든 개헌 문제 등을 언급할 경우 신구 정권의 갈등지수는 수직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MB청와대에서 고위직을 지낸 한 인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회고록 집필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를 빼는 데 대한 불만이 많았다”면서 “몇 년 후에는 이런 부분을 묶어서 또 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모두 800쪽에 달하는 이번 회고록에서 박 대통령에 대한 부분은 세종시 수정 계획이 좌절되는 과정에서 잠시 언급됐을 뿐인데도 청와대는 즉각 ‘유감’의 뜻을 표하며 반응을 나타낼 정도로 정치적으로 민감하다.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이뤄졌던 박 대통령과의 몇 차례 단독회동이나 뒷얘기를 또다시 끄집어 낸다면 청와대나 여권의 친박계와 첨예한 대립각이 설 수밖에 없다.
특히 여권이 자원외교 국정조사를 수용한 것은 물론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비판적 기조를 이어가는 등 전임 정부와 차별화를 시도하면 할수록 이 전 대통령의 행보도 그만큼 적극적이고, 공격적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친이계 의원은 “지금 정치권은 국정조사니 뭐니 할 말을 다하면서 전직 대통령은 입을 다물라고 하는 것은 무리”라면서 “지난 정부의 역점 사업들을 정쟁화시키는 마당에 지난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올바로 알릴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즉, 이 전 대통령 진영의 행보는 ‘MB시대’를 지켜내기 위한 적극적인 ‘자기보호 본능’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통령 측은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정 경험을 공유하는 차원일 뿐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한 측근은 “국정 경험을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소상히 기록한 것”이라면서 “자원외교 국정조사에 대해 반박하려면 한 챕터를 할애하지 달랑 5페이지만 썼겠느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국정경험 공유라는 명분은 현 정부 입장에서는 ‘정치 훈수’ 내지 ‘정치 개입’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신구정권 세력간 불편한 관계를 예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