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朴대통령 지지율 하락속 ‘현실정치’ 개입수순?

MB, 朴대통령 지지율 하락속 ‘현실정치’ 개입수순?

입력 2015-01-30 17:23
수정 2015-01-30 17: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회고록 출간 계기로 2년만에 국정현안 볼륨 높일 태세MB측 “국정경험 공유차원” 불구 ‘훈수정치’ 논란예고

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이명박(MB)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 비사를 담은 회고록 발간을 기점으로 퇴임 2년 만에 현실 정치에 다시 발을 들여놓으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율이 새해 들어 거푸 최저점을 경신하는 시점에 공교롭게도 회고록이 발간되자 정치권에서는 여러 추측과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그동안 이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개인 사무실을 내는 시기도 조심스럽게 정하고, 정치·경제 현안에 대해서는 일절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등 극도로 조용한 행보를 보여왔던 터여서 회고록 출간을 전후한 공개행보가 심상치않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청와대 김두우 전 홍보수석비서관은 3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 출간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현실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면서도 “재임 중 이루지 못한 개헌, 선거구제 개편 등에 대해 언젠가 표현할 기회가 오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전 수석은 “이 전 대통령은 동서의 지역감정을 희석시키는 정치적 액션을 하고 싶어 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 전 대통령은 재임 중반 이후 당시 이재오 특임장관을 통해 부단히 개헌을 추진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이 의원은 현재도 국회에서 ‘개헌 전도사’로 통한다.

만약 이 전 대통령이 김 전 수석의 말대로 이번 회고록과 같이 당시 상황을 소개하며 어떤 형태로든 개헌 문제 등을 언급할 경우 신구 정권의 갈등지수는 수직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MB청와대에서 고위직을 지낸 한 인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회고록 집필 과정에서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를 빼는 데 대한 불만이 많았다”면서 “몇 년 후에는 이런 부분을 묶어서 또 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모두 800쪽에 달하는 이번 회고록에서 박 대통령에 대한 부분은 세종시 수정 계획이 좌절되는 과정에서 잠시 언급됐을 뿐인데도 청와대는 즉각 ‘유감’의 뜻을 표하며 반응을 나타낼 정도로 정치적으로 민감하다.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이뤄졌던 박 대통령과의 몇 차례 단독회동이나 뒷얘기를 또다시 끄집어 낸다면 청와대나 여권의 친박계와 첨예한 대립각이 설 수밖에 없다.

특히 여권이 자원외교 국정조사를 수용한 것은 물론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비판적 기조를 이어가는 등 전임 정부와 차별화를 시도하면 할수록 이 전 대통령의 행보도 그만큼 적극적이고, 공격적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친이계 의원은 “지금 정치권은 국정조사니 뭐니 할 말을 다하면서 전직 대통령은 입을 다물라고 하는 것은 무리”라면서 “지난 정부의 역점 사업들을 정쟁화시키는 마당에 지난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올바로 알릴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즉, 이 전 대통령 진영의 행보는 ‘MB시대’를 지켜내기 위한 적극적인 ‘자기보호 본능’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통령 측은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정 경험을 공유하는 차원일 뿐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한 측근은 “국정 경험을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소상히 기록한 것”이라면서 “자원외교 국정조사에 대해 반박하려면 한 챕터를 할애하지 달랑 5페이지만 썼겠느냐”고 반문했다.

하지만 국정경험 공유라는 명분은 현 정부 입장에서는 ‘정치 훈수’ 내지 ‘정치 개입’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신구정권 세력간 불편한 관계를 예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