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남한 탈북자들 삶 비참”…재입북 권유

북한 “남한 탈북자들 삶 비참”…재입북 권유

입력 2015-04-02 11:53
수정 2015-04-02 1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탈북자에 대해 비난 일색이었던 북한이 최근 이들의 열악한 삶을 부각하고 향수를 자극하며 재입북을 권유하고 있어 관심을 끈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2일 ‘차례진 것은 천대와 멸시, 막심한 후회’라는 제목의 글에서 남한 탈북자들이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고 있다며 “공화국(북한)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열망이 높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민족끼리는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중 대다수가 낮은 소득과 사회적 편견의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견디다 못해 결국 ‘범죄의 길’로 빠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 당국이 “비록 죄를 지은 자식이라도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향으로 돌아오려는 사람들을 위해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다”고 선전했다.

특히 “고난의 언덕을 딛고 올라선 조국은 그 사이 천지개벽했다. 탈북자들의 고향과 마을도 몰라보게 변했고 친척·친구들도 행복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며 최근 북한의 경제사정이 이전보다 개선됐음을 부각했다.

앞서 북한 민족화해협의회 대변인도 지난달 28일 우리민족끼리 기자와의 문답에서 재입북하는 탈북자들을 언제든 받아줄 준비가 돼 있다며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라고 권유했다.

다만 북한 매체는 북한 인권문제를 폭로하고 북한 체제를 비난하는 탈북자들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원색적인 비난을 이어가며 여전히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탈북자를 ‘배신자’로 매도하며 비난만 하던 북한이 유화적인 어조로 탈북자들에게 재입북을 권유하는 것은 이전에는 좀처럼 찾아볼 수 없던 모습이다.

북한 매체의 이중적인 대응은 가난한 삶을 견디지 못해 고향을 등진 ‘생계형 탈북자’만이라도 우선 포섭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정은 체제 들어 시장 확대 등을 통해 다소 개선된 경제사정을 내세워 ‘부적응’ 탈북자들을 가족이 있는 북한으로 다시 유인하고 이를 통해 인권 문제에도 대응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남한에 정착한 탈북자 수는 북한 경제가 ‘바닥’을 쳤던 1990년대 후반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꾸준히 늘어나 2009년 3천여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중 상당수는 배고품을 못이겨 탈출한 생계형 탈북자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자는 “국내 탈북자 중 함경도·양강도 출신이 많은 데 이들 중 상당수는 가난이 싫어 탈북한 사람들”이라며 “최근 이같은 북한 매체의 재입북 권유 선전에 흔들리는 탈북민도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남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탈북자의 향수를 자극해 북한 인권운동의 주요 동력인 ‘탈북자 사회’를 분열시키려는 대남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한사회에 대한 비난을 계속하면서 동시에 정서적으로 탈북자들을 자극하기 위한 것”이라며 “최근 경제사정이 나아진 것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