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이총리 사퇴 총공세 속 “오버 안돼” 내부단속도

野, 이총리 사퇴 총공세 속 “오버 안돼” 내부단속도

입력 2015-04-15 20:46
수정 2015-04-15 2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탄핵”, “해임건의” 강경론·’특검 즉각 도입’ 주장에 제동지도부, 특검 속도조절론 재확인…별도 특검 주장은 논란 여지

새정치민주연합은 15일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한복판에 선 이완구 국무총리를 ‘거짓말 총리’로 몰아세우며 자진사퇴를 한목소리로 촉구하는 등 압박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한때 검토했던 대정부질문 보이콧 카드를 집어넣고 이 총리 면전에서 공개적 융단폭격을 가했다. 강경파 일각에서는 탄핵 및 해임건의안 제출 주장도 고개를 들었다.

그러나 특검 도입 문제를 비롯, 구체적 대응수위를 둘러싸고 당내 강온 입장이 혼재하면서 혼선이 빚어지자 지도부가 ‘선(先) 검찰수사-후(後) 특검 도입’ 입장을 재확인하며 내부 단속에 나서기도 했다. 중구난방식 해법으로는 현 국면을 일사불란하게 주도해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당 지도부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총리의 즉각적 사퇴를 요구하는 동시에 새누리당을 ‘부패의 몸통’으로 지목하며 파상공세를 폈다. 또한 대정부질문에서 이 총리를 집중 추궁하되, 정책 질의는 부처 장관으로만 한정하는 등 ‘총리로서 인정하지 않겠다’는 제스처도 보였다.

강경파로 꼽히는 정청래 최고위원은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보도자료를 내고 “이 총리가 사퇴하지 않으면 탄핵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탄핵을 위한 해임건의안 제출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그러나 당 ‘친박 게이트 대책위’ 위원장인 전병헌 최고위원은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탄핵이니 퇴진이니 하야니 하는 식의 자극적 표현들은 행여라도 삼가 달라”며 “지나치게 앞서 나감으로 인해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극적이고 정쟁적인 대응은 하등 도움이 안 된다”면서 “오버하지 말라. 말 조심을 해야 한다”며 신중한 대응을 주문했다는 것이다.

전 최고위원은 특검 문제와 관련해서도 “지금은 특검을 주장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특검 국면으로 접어드는 순간 그 방식 및 조사 대상, 범위 등을 놓고 정쟁이 벌어지면서 검찰수사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특검을 도입하더라도 수사 인력 및 특검 임명상의 제한이 분명한 현 상설특검이 아닌 ‘별도 특검’이 돼야 한다는 입장도 재차 밝혔다고 복수의 관계자들이 밝혔다.

이와 관련, 우윤근 원내대표도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특검이 필요하면 하는 데 하려면 제대로 된 특검을 해야 한다”며 “상설특검법에 의한 특검 보다는 특별볍에 의한 특검을 해야 하는 게 아닌지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해임건의안 제출 문제도 일단 하나의 선택지로 쥐고는 있되 당장은 꺼내들지 않는다는 복안이다. 이번 파문이 장기전으로 갈 수밖에 없는 만큼 상황을 보며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야당이 주도, 여야 합의로 빛을 본 상설특검이라는 제도를 인정하지 않은 채 별도의 특검을 주장하는 것을 놓고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내부에서조차 일부 나오고 있다.

또한 야당도 성 전 회장이 참여정부 시절 특별사면을 받은 일이나, 일부 야당 의원들도 성 전 회장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계속 불거지며 내부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