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 특사 복권도 문재인 대표가 사과해야”성완종 파문 상설특검 수용 촉구…당 일각선 별도특검 주장도
새누리당은 4·29 재보선을 이틀 앞둔 27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노무현정부의 특혜성 특사 의혹을 연일 부각하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었다.특히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향해 특사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으라고 압박했다.
동시에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특검 수사를 내세워 여당의 진상규명 의지를 강조하면서 야당에 대해서도 상설특검법에 따른 특검 논의에 즉각 응할 것을 촉구했다. 적극적인 공세를 통해 선제적 방어에 나선 셈이다.
이군현 사무총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문 대표를 겨냥해 “노무현정부 하에서 (이뤄진)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성 전 회장의 두 차례 특별사면은 물론이고 이번 재보선의 원인을 제공한 이석기의 사면복권에 대해서도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석기는 2003년 8월 광복절특사 대상에 포함됐고 2년후인 2005년 8월에 특사 복권됐는데 이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문재인, 법무부 장관은 천정배였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와 함께 광주 서을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 후보를 동시에 타깃으로 삼은 것이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초·재선 의원모임 ‘아침소리’에서 2007년 당시 법무부가 4차례 성 전 회장 특사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던 사실을 거론, “문 대표가 처음에 특별사면이 법무부 소관 업무라고 했는데, 그럼 법무부가 알아서 처리했겠지 왜 대통령에게 네 번이나 잘못된 특사라고 반대했겠나”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얼토당토않은 기가 막힌 시나리오를 문 대표가 이야기하는 느낌”이라며 “이 문제를 제일 잘 아는 인물이 청와대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을 지낸 문 대표일 수밖에 없는데 확실한 답변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이진복 전략기획본부장은 K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문 대표가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한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 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 “의혹만으로 그렇게 몰고 가는 건 옳지 못하다”며 “그렇다면 문 대표는 특사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데, 당대표직을 내놓고 물러서서 그걸 지켜볼 수 있는 사항인가”라고 반문했다.
문 대표가 별도 특검법을 마련해 성완종리스트를 수사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서도 새누리당은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 야당만 결정한다면 당장 상설특검법에 따라 특검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며 반격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특별검사(도입)에 대해 국민의 64%가 찬성하고 있다”면서 “작년에 여야 합의로 제정한 특검법에 따라 특검을 임명할 것을 거듭 야당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여당과 야당 모두 특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만큼 특검 협상을 즉각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다만 당내 일각에선 야당이 요구한 별도 특검법을 수용하자는 의견도 제기됐다.
하태경 의원은 ‘아침소리’에서 “국민 입장에선 특검의 형식보다 진실을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 같다”며 “야당이 억지를 부린 것이긴 하지만 여당 입장에서는 진상을 정확히 규명한다는 차원에서 대승적으로 별도 특검을 수용하는 결단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