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입력 2015-06-16 10:45
수정 2015-06-16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늑장정부, 은폐삼성…나라전체가 봉숭아학당”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16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을 ‘똥볼원순’이라고 지칭해 ‘막말’ 논란이 일었다.

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 박 시장의 지난 4일 긴급 기자회견을 비판하면서 “이번에 메르스 대응을 보면 나라 전체가 지금 봉숭아학당”이라면서 “늑장정부에 은폐 삼성,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35번 환자)와 접촉했던 것으로 추정된 1천565명을 전원 격리했으나 감염자가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이게 완전히 엉뚱한 곳에 똥볼을 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른바 ‘슈퍼전파자’로 판명난 14번 환자를 역학조사할 시간에 35번 환자 접촉자에 대한 격리에 집중했다며 “지자체가 협력해도 힘이 모자랄 판에 서울시만 엉뚱한 곳에 공을 차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똥볼을 세게 차서 사회에 경각심을 일깨운 것은 있다”고 전제한뒤 “(그러나) 박 시장이 찬 볼이 정확하게 골대로 들어간 게 하나도 없다”고 거듭 비판했다.

하 의원의 발언과 관련, 한때 박 시장을 ‘똥볼원숭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졌으며, 이후 ‘원숭이’가 아닌 ‘원순’이었다고 정정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도 박 시장의 메르스 대응 방식에 대해 정략적인 접근이라며 강도높은 공세를 이어갔다.

의사 출신의 박인순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최근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35번 환자를 언급한 뒤 “박 시장의 기자회견 이후 극도의 스트레스가 면역력을 떨어뜨려 바이러스 증식을 더 심화시켰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고 말했다.

박대출 당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채 “일부 야권의 지도급 인사들이 불안을 조장하고 정치적인 시선을 끌려는 처신은 사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메르스는 정치인 개인의 정치 디딤돌로 삼을 대상이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는 지난 2일, 창립 60주년을 맞아 제60회 정기총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12년간 마포구지회를 이끌어온 소영철 지회장의 퇴임식이 함께 진행됐으며, 오랜 기간 외식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패가 수여됐다. 이날 행사에는 박강수 마포구청장을 비롯해 조정훈·국회의원, 마포구 시·구의원 및 관내 주요 단체장들이 참석해 축하와 감사의 뜻을 전했다. 소영철 지회장은 지난 2013년, 치열한 경선 끝에 지회장에 취임한 이후, “통합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분열과 갈등을 봉합하고 마포 외식업계를 하나로 이끄는 데 헌신해왔다. 그 결과 2014년에는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마포 외식업 반세기의 역사를 집대성한 기념 서적을 발간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남겼다. 특히 소 지회장은 외식업 단체의 재정 자립 기반 마련에 앞장섰다.월세 300만원의 임대사무실에 머물던 상황에서 회원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철저한 예산 절감을 통해 장기 상환계획을 세웠고, 2021년 마포구지회 독립 사옥을 완공했다. 이 사례는 서울시 외식업 지회 중에서도 보기 드문 성공적인 자립 사례로, 마포 외식업계의 위
thumbnail -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