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의원수 확대를 당론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은 27일 혁신위원회의 전날 ‘의원정수 확대’ 주장의 정치적 파장을 수습하는 데 주력했다. 하지만 의원 수 증원이 필요하다는 데는 여야 모두 내심 동의하는 것 아니냐는 항변의 분위기도 감지된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27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공직선거법심사소위원회 회의에서 경대수(왼쪽) 새누리당 의원과 박범계(오른쪽 두 번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앞서 의원정수 확대를 당론으로 추진할 뜻을 밝혔던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지역구 몇 석, 비례대표 몇 석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수를 늘리는 데에 대한 정치비용이 커지는 문제는 총액 제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정면돌파를 시사했다. 전날 “이 원내대표의 개인 의견으로 당 차원에서 전혀 논의된 바 없다”며 진화에 나섰음에도 다시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 원내대표는 “우리가 특권을 과감히 내려놓아 국민의 혈세 낭비 우려를 불식시키고 자신감을 갖고 이 문제를 정면으로 논의해서 우리 당론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오픈프라이머리 여야 토론하자”
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 공동 토론회를 개최하자”며 오픈프라이머리 문제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 과거 논란을 의식해 의원정수 문제 언급을 피하는 대신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등으로 국면 전환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 일각에서는 정치개혁을 둘러싼 지도부의 엇박자를 경계하는 시각도 제기된다. 당 관계자는 “지도부에서 의원정수 문제가 오늘 이후에도 언급되는 것은 여론에 좋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07-2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