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위·서초동發 물갈이론’에 ‘술렁’

野 ‘혁신위·서초동發 물갈이론’에 ‘술렁’

입력 2015-07-30 13:24
수정 2015-07-30 1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사·재판대상 비주류 많아 계파갈등 격화될수도

20대 총선을 8개월여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내년 4월 총선에 나설 후보자 공천을 둘러싸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혁신위원회가 ‘공천개혁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공천혁명을 위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임을 이미 예고한 데다가 당 소속 의원들에 대한 검찰 수사나 법원의 재판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중진들을 포함한 상당수 현역 의원들이 혁신위의 ‘공천개혁’ 파도와 서초동발(發) 검풍(檢風) 또는 법풍(法風)이라는 ‘퍼펙트스톰’ 휩쓸려 줄줄이 낙마하는 사태가 빚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현재 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인사는 박지원 한명숙 신계륜 의원 등이다.

저축은행 비리 사건으로 기소된 박 의원은 1심에서 무죄였지만 항소심에서 일부 유죄 선고를 받아 대법원에 계류중이다.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된 한 의원 역시 1심 무죄, 2심 유죄 판결 이후 대법원의 최종심 판결을 남겨놓고 있다. 최종 유죄 판결을 받으면 피선거권 박탈로 내년 총선 출마가 어려워진다.

검찰 수사도 변수다.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김한길 의원이 검찰이 칼날 앞에 놓여 있고, 박기춘 의원은 남양주 분양 대행업체 비리에 연루돼 있다.

문제는 새정치연합이 최근 기소만 돼도 공천 자격을 부여하지 않는 쪽으로 당규를 개정했다는 점이다. 새정치연합은 ‘정치적 탄압’ 사건으로 판단될 때 윤리심판원의 심사를 거쳐 공천심사를 받을 자격을 주는 ‘퇴로’를 마련해 뒀지만 개정된 당규가 당사자들에게는 부담스런 부분일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혁신위는 공직자평가위원회 구성, 교체지수 도입 방침을 밝힌 이후 구체적인 항목과 적용 방식 등을 논의하며 공천개혁안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혁신위는 내달 중순 이후 내년 총선 공천 기준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 때가 되면 현역의원 물갈이폭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문제는 검찰 수사와 혁신위 공천개혁안이 친노(친노무현)-비노, 주류-비주류 간 갈등을 격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수사나 재판을 받고 있는 인사들 가운데는 김한길, 박지원 의원처럼 당내에서 소위 비주류로 통하는 인사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비주류는 혁신위가 문재인 대표의 주류를 암묵적으로 지원한다는 불만을 털어놓고 있음을 감안하면 검찰 수사 및 법원 재판 결과가 나오고 혁신위 공천안이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면 당내 계파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특히 비주류의 우려대로 거물 인사들을 포함해 비주류가 불이익을 받는 모양새로 상황이 전개된다면 벌써부터 당밖에서 제기되는 신당론과 맞물려 당이 큰 내홍을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