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신당론으로 기득권 누리려는 부류있다” 직격탄

김상곤 “신당론으로 기득권 누리려는 부류있다” 직격탄

입력 2015-08-11 11:35
수정 2015-08-11 1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천정배 정동영 포용해야…文 측근들 선당후사 하리라 생각””의원정수 의제화 필요…증원 제안한 것처럼 오해산 것 아쉬워”

신당론의 위협 속에 새정치민주연합의 쇄신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11일 당내 일부 신당·분당론자를 겨냥, “본인이 기득권을 누리려고 움직이는 부류”라며 일침을 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내 혁신위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시종일관 담담하고 차분한 표정으로 답변을 이어가면서도, 신당파에 대한 대목에서는 강경한 어조로 “당을 기득권의 대상으로 삼지 말아야 한다”고 단호하게 비판했다.

이어 “혁신위 활동이 싹을 틔우고 있다”며 “신당 움직임이 계속될 수 있지만 크게 부풀려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당을 떠난 무소속 천정배 의원이나 정동영 전 의원에 대해서도 “끌어안고 가야 한다. 이들을 포용하는 것이 우리 당의 역할이 돼야 한다”면서 당 혁신을 통해 당 안팎의 신당론을 차단할 것임을 역설했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 취임일성으로 “계파주의가 당을 민둥산으로 만든다”고 비판하면서 혁신위 활동을 시작했다. 70여일간 활동을 평가한다면

▲ 최선을 다해 노력했다. 혁신위 활동에 대한 진정성과 성과에 대한 기대가 조금씩 생기고 있다. 아직 수풀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싹을 틔우고 있는 셈이다.

-- 신당·분당론을 비롯한 야권재편 논의가 끊이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혁신안 발표 시점을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혁신위가 원심력을 차단할 수 있을까.

▲ 신당론을 얘기하는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로 보인다.

우선 정말로 새정치연합이 제대로 못하기 때문에 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분들도 있지만, 다른 한 부류는 본인들의 기득권을 계속 누리거나 되찾으려고 움직이는 분들도 없지 않다. 당을 기득권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면 좋겠다.

비주류에서는 호남 민심을 얘기하면서 문 대표가 사퇴해야 혁신이 이뤄진다는 얘기도 하는데, 호남 민심은 당이 수권능력을 갖추기를 바라는 것이다. 어느 한 사람의 거취 문제와는 다른 차원이다.

당에 애정이 있는 분들은 혁신안의 성과를 눈여겨보고 있다. 신당 움직임은 지속되겠지만 크게 부풀려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오히려 신당 흐름이 당의 혁신 과정에서 포용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지도부의 기득권 포기 요구를 해 왔다. 문재인 대표 측근들이 불출마를 할 필요가 있다고 보나.

▲ 문 대표의 불출마는 대표로서 판단한 것이고, 측근들에 대해서는 제가 판단할 사안은 아니다. 대신 문 대표와 함께할 사람들이 선당후사적인 관점에서 판단하리라 본다.

-- 무소속 천정배 의원, 정동영 전 의원과의 관계설정은.

▲ 당 혁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었던 분들이다. 끌어안아야 한다. 이들이 새정치연합에 느끼는 문제나 한계도 수용해야 한다.

-- 혁신위가 공천개혁 작업에 착수하면서, 국민들은 강력한 인적쇄신이 이뤄질지에 주목하고 있다. 공천개혁 구상은.

▲ 광범위하게 의견을 수렴하면서 공천룰을 정하겠다. 원외지역위원장이나 단체장들의 얘기도 들어보겠다. 다만 지도부의 판단을 특별히 고려하지는 않겠다.

엄정하고 공정하게 룰을 만들겠다. 그 과정에서 그런(강력한 인적쇄신) 분위기가 생길 수도 있다.

우선 지금은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 구성을 위한 세부 규정을 만들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일이다. 전원 원외 인사로 구성해 독립성을 지키되, 당 윤리심판원장과 감사원장은 참여시킬 계획이다.

-- 최근에는 의원 정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파문이 일기도 했다.

▲ 의원 정수 문제는 의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진지하게 논의해달라고 제안한 셈이다. 다만 일부가 비판하는 것처럼 (국회의원을 증원해야 한다고) 정수 문제를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려놓고 제안한 것처럼 오해를 산 부분은 아쉽다.

-- 혁신위 활동을 마무리한 후 위원장의 행보는.

▲ 혁신위원장을 수락하면서 개인의 정치적 플랜은 내려놔야 한다고 생각했다. 혁신위가 끝나면 그전에 해오던 ‘혁신 더하기 연구소’ 활동을 이어가면서 우리 사회의 정치·교육·경제 분야에 대한 혁신 연구를 계속하겠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