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지뢰’가 건드린 與친박-비박 계파갈등 ‘뇌관’

‘北지뢰’가 건드린 與친박-비박 계파갈등 ‘뇌관’

입력 2015-08-16 10:40
수정 2015-08-16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靑·당국 부실대응 책임론’ 놓고 계파충돌 조짐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사퇴로 잠잠해진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계의 갈등이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일부 비박계 의원이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에 대한 청와대와 정부 당국의 ‘부실 대응’을 지적하고 나서자 친박계에서 “아군에 대한 공격”이라고 강하게 반박하면서 미묘한 충돌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 문제를 놓고 공개석상에서 ‘갑론을박’을 벌이는 의원들은 유 전 원내대표의 거취 파동 때 최전방에서 치열하게 맞붙었던 이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시작은 김무성 대표와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의 ‘지뢰도발 책임론 공방’이었다.

김 대표가 지난 11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사건에 대해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자, 윤 의원은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김 대표의 발언이 “아군 지휘부를 겨냥하는 것”이라며 ‘표적 오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 전 원내대표와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 이정현 최고위원이 하루 간격으로 지뢰도발 대응에 대한 책임론을 놓고 상반된 주장을 펼치면서 전선이 확대됐다.

유 의원이 지난 1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정부 부처 간 엇박자와 청와대 콘트롤타워 부재를 강도높게 비판하자 이 최고위원이 이튿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책임론’을 “아군 진지에 ‘설탄(舌彈)’을 쏘는 격”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한 것이다.

이어진 13일 의원총회에서도 비박계 의원들의 ‘청와대 비판’이 이어지면서 양 계파의 대립각은 더욱 첨예해졌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정두언 의원은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사퇴를 촉구하면서 구체적인 대상자를 공개 지목한 ‘인책론’을 처음 꺼냈고, 탈북자 출신의 조명철 의원도 청와대의 부실 대응을 강도높게 비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뢰도발 사건이 의총의 정식 안건은 아니었기 때문에 정면 충돌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친박계 의원들은 청와대와 정부의 책임론을 공론화한 비박계 의원들에 대해 내심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지뢰도발 사건에 대한 ‘책임론’을 계기로 해묵은 친박-비박 갈등이 재부상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번 일이 ‘유승민 사퇴 파동’ 때와 같이 전면전 형태로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극한 대립으로 치달았던 당내 계파 갈등을 가까스로 봉합한 지 한달여 밖에 지나지 않아 되도록이면 ‘집안싸움’은 자제하자는 분위기가 당내에 널리 퍼져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노동개혁,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 현안을 놓고 당·정·청이 과거 어느 때보다 단합하는 모습을 보인데다 지뢰도발 사건 자체에 대한 인식은 계파간 차이가 없다는 점도 사태가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어떤 형태로든 계기가 생긴다면 또다시 갈등은 분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김 대표가 추진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등 20대 총선룰이 그 ‘촉발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