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더민주 전대…물밑서 ‘룰 신경전’만 치열

조용한 더민주 전대…물밑서 ‘룰 신경전’만 치열

입력 2016-08-02 11:20
업데이트 2016-08-02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권주자들 선명성 경쟁속 노선차이 작아…절차두고 샅바싸움만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권 레이스가 특별한 화젯거리를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침체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차기 당 대표 후보인 추미애 이종걸 김상곤 송영길 후보가 ‘선명성 경쟁’을 벌이면서 노선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데다, 비주류인 이 후보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이 공통적으로 ‘친문(친문재인)’ 진영에 손을 내밀고 있어 후보간 차별점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당장 5일 예비경선에서 ‘컷오프’를 통과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되다 보니 후보들이 대국민 여론전보다는 예비경선 선거인단인 지역위원장·자치단체장을 접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점도 ‘잠잠한 전대’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후보 진영간 공방은 실무진 사이의 신경전 수준에 그치고 있다.

최근에는 각 지역 대의원대회에 선거운동원을 얼마나 두느냐를 두고 줄다리기가 벌어졌다.

일부 후보 측에서는 선거운동원을 30명까지 허용해 전대 분위기를 띄우고 흥행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후보 측이 “지금은 흥행보다 검소하게 전대를 치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당권후보 4명이 30명씩 동원하면, 각 지역의 대의원 숫자보다 많아질 수 있다. 지역위원장을 뽑는 지역대의원대회에서 주객이 전도될 우려가 있다”고 맞서 결국 선거운동원 숫자는 10명으로 결정됐다.

또 다른 후보 측에서는 “30명씩이나 운동원을 두자는 것은 결국 돈을 많이 쓰는 쪽이 유리하게 경선을 치르자는 것 아니냐”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앞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와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컷오프를 실시하지 않고 4명 모두 본선에 직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했을 때에도 일부 후보 측에서는 “컷오프를 생략하는 것은 특정 후보에게만 유리한 것”이라고 볼멘 소리가 나왔다.

결국 전준위는 컷오프를 실시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처럼 전당대회 규칙에 대해서는 그나마 물밑에서 공방이 이어지지만 정책이나 노선을 둘러싼 격돌은 아직 제대로 벌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후보들이 앞다퉈 각종 현안에 강경론을 펴는 등 입장차가 크지 않아, 기존 전대와 같은 정면충돌 양상은 앞으로도 벌어지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네 후보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 공통적으로 반대하면서, 자신이 당 대표가 될 경우 반대당론을 채택하겠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추 후보의 경우 이날 오전 KBS라디오에 나와 “국정원 댓글부대 등으로 선거를 승리한 집권당과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며 “국민을 한 번 속였으면 됐지 또 속일 수는 없다. 한시바삐 대통령이 탈당해 선거중립 내각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경발언을 이어갔다.

당내 계파 갈등의 뇌관으로 꼽히는 이해찬 전 국무총리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도 후보들은 모두 긍정적인 입장이다.

비주류인 이 후보까지도 최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전 총리의 경우 정치적으로 (공천 과정에서) 경질된 측면이 크다”며 “총선을 통해 정치적으로 복권된 만큼 제가 당 대표가 되면 복당 허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