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면]軍, 빅데이터 시범사업 나선다?

[8면]軍, 빅데이터 시범사업 나선다?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6-09-05 17:12
업데이트 2016-09-05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 인건비 예산 예측, 전투복 재고관리 등

군 당국이 입영자들의 신체 치수 데이터를 전투복 수요 예측에 활용하는 등 국방업무 효율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국방부는 5일 정책홍보·정보화·교육훈련·보건복지·인사·군수분야 등 6개 분야에 13개 시범추진과제를 발굴해 올해 말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빅데이터 개념연구를 수행해 군 인건비 예산 예측모델을 시범서비스로 구축했다”며 “빅데이터 활용을 군 고유업무로 발전시키기 위한 국방 빅데이터 포털 시스템 설계와 종합발전계획 수립 등을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그간 군 인건비 예산편성 시 2년간 평균으로만 예산을 편성해 연례적인 인건비 과·부족이 발생했던 문제를 10년간 축적된 인건비 데이터 패턴을 분석해 예산 편성 기준으로 제시했다. 이 결과물은 기획재정부의 내년도 인건비 예산의 기준으로 활용됐다.

또한 군 당국은 입영자들의 신체 치수를 주기적으로 측정해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투복 치수별 재고 관리를 예측하는 연구에도 착수했다. 군 관계자는 “신체 치수에 대한 치수별 군집을 분석해 현재의 치수 체계 상의 분포를 파악하고 보다 세밀한 치수 체계의 정립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 연구 결과가 실제 적용되면 전투복 수요 예측과 생산비용의 절감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군은 연말까지 이 연구작업을 마치고 매년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입영자들의 신체 치수와 비교해 최적 체형의 전투복을 제작하는 데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군은 군별 표본 부대를 선정해 전기와 기름, 수도 등의 사용 현황을 부대별, 계절별로 비교 분석하는 한편 예산 절감을 위한 부대 운영의 최적 모형 산출에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