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개성공단 재가동을 위해서는 비핵화 진전과 국제사회의 대북 기조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강 후보자는 7일 인사청문회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에 대해 “향후 비핵화 진전, 국제사회의 대북기조 변화 등 여건이 진전돼 재가동이 본격 검토될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국가들과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 후보자는 “(개성공단이) 남북간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고, 경제 협력을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데 있어 생각을 동감한다”고 전제한 뒤 “(공단 조성) 당시 상황과 지금 비교할 때 환경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이해한다”고 부연했다.
강 후보자는 개성공단 재개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저촉되는지에 대해 “안보리 제재 결의(를 담당하는) 위원들과 대화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고,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에 대한 질문에는 “국제사회의 틀, (제재를) 적극 이행하는 틀 안에서, 훼손이 되지 않는 부분에서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 후보자는 7일 인사청문회에서 개성공단 재가동 문제에 대해 “향후 비핵화 진전, 국제사회의 대북기조 변화 등 여건이 진전돼 재가동이 본격 검토될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국가들과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 후보자는 “(개성공단이) 남북간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고, 경제 협력을 위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데 있어 생각을 동감한다”고 전제한 뒤 “(공단 조성) 당시 상황과 지금 비교할 때 환경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이해한다”고 부연했다.
강 후보자는 개성공단 재개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저촉되는지에 대해 “안보리 제재 결의(를 담당하는) 위원들과 대화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고,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에 대한 질문에는 “국제사회의 틀, (제재를) 적극 이행하는 틀 안에서, 훼손이 되지 않는 부분에서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