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 ‘내조외교’ 첫 무대…멜라니아 여사와 호흡 주목

김정숙 여사 ‘내조외교’ 첫 무대…멜라니아 여사와 호흡 주목

입력 2017-06-25 09:10
수정 2017-06-25 09: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쾌한’ 김 여사·‘조용한’ 멜라니아 여사…성향은 대조적

靑 관계자 “김 여사의 친화력으로 좋은 관계 만들 것”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한미 정상회담 못지않게 두 정상의 부인이 펼칠 ‘내조 외교’에도 관심이 쏠린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방미 때면 양국 동맹의 무게감에 걸맞게 ‘퍼스트레이디’의 내조 외교도 주목받았다.

문 대통령의 부인인 김정숙 여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만 보면 거의 정반대에 가까운 캐릭터를 갖고 있다.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한 김 여사는 졸업 후 서울시립합창단에서 활동했지만, 변호사 일을 시작한 문 대통령을 따라 부산으로 내려간 뒤 내조에 충실했다.

멜라니아 여사는 슬로베니아(구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나 디자인과 건축을 공부하고 밀라노와 파리, 뉴욕에서 모델 활동을 하다가 2005년 트럼프 대통령의 셋째 부인이 됐다.

대중에 드러나는 이미지도 극과 극이다.

‘유쾌한 정숙씨’라고 불릴 정도로 김 여사의 성격이 활발한 반면, 멜라니아 여사는 ‘은둔의 퍼스트레이디’라고 불리며 한때 좀처럼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내조 외교’가 잘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지만, 청와대는 긍정적인 관측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여사의 친화력으로 첫 만남에서도 어색함 없이 멜라니아 여사와의 ‘내조 외교’를 성공적으로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 때부터 특유의 친화력과 외향적인 성격으로 다소 무뚝뚝한 문 대통령을 보완했던 김 여사가 이번에도 공식 만찬과 별도의 환담 자리에서 ‘퍼스트레이디’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은둔형’에 가까웠던 멜라니아 여사가 최근 공개적인 자리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도 낙관적인 신호로 보인다.

멜라니아 여사는 두 달 전 미·중 정상회담 때 공식 만찬 장소에 도착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彭麗媛) 여사를 직접 마중하는 등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다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김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가 어떤 패션을 선보일지도 관심사다.

미·중 정상회담 때 멜라니아 여사는 상대를 배려해 중국을 상징하는 붉은 원피스를 입어 눈길을 끌었다.

김 여사도 외교부 등 주변의 조언을 경청하면서 정상회담 때 어떤 옷을 입을지 등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하는 일정과 별도로 김 여사는 현지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는 ‘스킨십 행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례에 비춰봤을 때 교포들을 격려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물론 교육·복지 시설 등을 둘러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 여사는 2008년 4월 첫 방미 당시 워싱턴 DC의 저소득층 아동 보육시설과 국립 여성예술박물관을 찾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는 2003년 5월 미국을 방문해 뉴욕의 한글학교 교사들과 간담회를 했고,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1998년 6월 뉴욕의 시각장애인 교육기관에 들러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