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 다른 실질 대북조치’ 뭐가 있나…원유차단이 1순위

‘차원 다른 실질 대북조치’ 뭐가 있나…원유차단이 1순위

입력 2017-09-04 16:41
업데이트 2017-09-04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동의 미지수…경제봉쇄·군사압박 등 다양한 주장 제기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르고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질적인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어떤 조치가 가능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이 절감할 다른 차원의 실질적인 조치’로는 원유공급 차단이 1순위로 거론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실현만 된다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마음을 돌릴 수 있는 최상의 카드가 원유공급 차단”이라고 말했다.

실제 중국은 북핵 6자회담에 시큰둥했던 북한을 움직이기 위해 2003년에 수리를 핑계로 사흘간 북으로 향하는 송유관을 잠가 효과를 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중국이 대북 원유공급을 일시적으로나마 중단한 사례로 여겨진다.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이뤄질 새 제재 논의의 핵심도 대북 원유공급 차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가지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가 이에 동의하느냐다. 북한은 연간 150만∼200만t의 원유·석유제품을 수입하는데, 이 중 90% 이상을 중국산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북한과 정상적인 거래를 하는 제3국 기업과 은행, 개인까지의 제재를 의미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카드로 중국을 압박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이 이 문제에서 얼마나 성의를 보일지는 불투명하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중국은 대북 원유공급 차단을 북중관계가 파탄 날 각오를 해야 쓸 수 있는 ‘최후의 카드’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중국이 그럴만한 상황으로 볼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원유차단’만으로는 부족하고 북한 노동자 송출금지를 비롯해 북한의 돈줄을 완전히 차단하는 ‘경제 봉쇄’ 수준의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원유는 돈만 있으면 어떻게든 조달할 수 있다”면서 “민간용·군수용 구분 없이 모든 무역을 차단해 원유를 살 수 있는 돈이 북한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차원이 다른 조치’를 거론했다는 점에서 군사적 압박의 수위가 지금까지보다 훨씬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6차 핵실험에 대응해 북한 핵시설을 겨냥한 미사일 발사훈련을 공개하고, 한미가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과 장거리전략폭격기 등 전략무기를 한반도에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방안을 협의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된다.

일각에선 북한이 ‘레드라인’을 거의 넘은 상황에서 ‘군사적 시위’를 넘어 ‘예방적 선제타격’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정말 할 수 있다는 각오가 있어야만 피할 수 있다”면서 모든 옵션을 테이블에 올려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