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국회 연설에 대해 정의당은 “30여분 내내 반공교육을 받는 느낌”이라고 혹평했다.
이미지 확대
국회 연설하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1993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이어 24년만에 국회 연설을 하고 있다. 2017. 11. 08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회 연설하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1993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이어 24년만에 국회 연설을 하고 있다. 2017. 11. 08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김종대 원내대변인은 8일 국회 정론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회에서 대한민국과 국민에게 존경과 우의를 표시한 데 대해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북한 문제의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않았고, 북한에 적대적인 표현을 하면서 도덕주의를 일관한 것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특히 ‘악당 체제’인 북한을 고립시켜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 말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북한이 ‘악당 체제’이기 때문에 대화와 협상은 필요 없고 고립시켜야 한다는 연설 내용에 경악을 금할 수 없었다”며 “이는 북핵 문제 해결 5원칙을 표방한 문재인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과도 상당한 간극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편향성 속에서 한반도 위기를 고조시킬 불씨를 제공하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성실하고 객관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직시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