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를 통해 귀순한 북한 병사 오모(25)씨가 ‘72시간’를 건너는데 걸린 시간은 약 7초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72시간 다리’ 향하는 귀순 북한병사의 차량 지난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귀순한 북한 병사가 지프차량을 몰고 ‘72시간 다리’를 향해 달리고 있다. 유엔군 사령부는 22일 최근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귀순한 북한 병사의 당시 총격 상황을 담은 CCTV를 공개했다. 2017.11.22 [유엔군사령부 제공=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2시간 다리’ 향하는 귀순 북한병사의 차량
지난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귀순한 북한 병사가 지프차량을 몰고 ‘72시간 다리’를 향해 달리고 있다. 유엔군 사령부는 22일 최근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을 통해 귀순한 북한 병사의 당시 총격 상황을 담은 CCTV를 공개했다. 2017.11.22 [유엔군사령부 제공=연합뉴스]
윤엔군사령부가 22일 공개한 북한군 귀순 당시 CCTV 동영상을 살펴보면 귀순병사는 2분만에 북한군 민경소초를 통과했다. 그리곤 약 7초만에 72시간 다리를 건넜고, 김일성 ‘친필비’를 지나 군사분계선(MDL) 쪽으로 향했다. 오씨는 72시간 다리를 건널때 차량의 라이트를 켰다.
유엔사의 채드 G 캐롤 공보실장은 이 영상을 공개하며 “(북한군이 탄 지프가) 72시간 다리를 건너 이동하자 주변 건물에서 일부 북한군 병사들이 뛰어나온다”며 “이 다리를 건넌 북한병은 김일성 동상으로 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일성 동상은 북한 JSA 투어가 시작되는 지점인데, 이 지점을 지나 군사분계선을 넘으려고 하는 모습”이라고 했다.
북한군 병사가 탄 군용지프가 시속 70여㎞로 비상등을 켠 채 북한 지역의 72시간 다리를 건너 북측 초소를 지나 JSA 내의 군사분계선(MDL) 인근까지 도착하는 데 4분이 걸렸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오씨를 다리를 건너면서 라이트를 켠 것은 탈북신호를 보낸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이날 여러번 거론된 72시간 다리는 1976년 8월18일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이후 ‘돌아오지 않는 다리’가 폐쇄된 뒤 북측에서 72시간 만에 다시 만든 다리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