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현장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9.10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개별기록관은 국가기록원의 필요에 의해 추진하는 것으로, 국가기록원이 판단할 사안”이라며 “개별기록관 건립을 지시하지도 않았으며, 그 배경은 이해하지만 왜 우리 정부에서 시작하는지 모르겠다. 당혹스럽다”고 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고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해당 뉴스를 보고 당혹스럽다고 하면서 불같이 화를 냈다”며 “나는 기록관을 원하지 않는다고 단호한 어조로 말했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개별 기록관 건립이 백지화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국가기록원의 판단에 의해 추진된 것이니, 앞으로 어떻게 할지도 국가기록원에서 결정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원하지 않는다”고 강경하게 말한 사실을 공개한 점은 사실상 백지화를 지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에게 제대로 보고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국가기록원이 개별기록관 건립을 추진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고 대변인은 “마치 대통령 지시로, 혹은 대통령의 필요에 의해 개별 기록관을 만드는 것처럼 보도되고 있다. 야당도 그런 주장을 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문 대통령이 원해서 건립하라고 한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전날 국가기록원 발표에 따르면, 퇴임한 대통령 관련 기록물을 보관하는 개별 대통령기록관은 문 대통령이 첫 사례로, 2022년 5월을 목표로 172억원을 들여 3000㎡ 규모로 지어질 계획이다.
기록원 측은 설립 추진 배경에 대해 대통령 재임기간 중 생성되는 기록물이 점점 늘어나는 데다, 현재 세종시에 있는 통합 대통령기록관의 서고 사용률이 83.7%에 이러 보존시설 확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증축보다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설립하는 것이 예산을 더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전 대통령들과 형평성 논란도 제기됐다.
이날 이주영 자유한국당 의원은 원내대표·중진의원 회의에서 “국민 혈세로 대통령 기념관을 만들겠다는 뻔뻔한 시도까지 들켰다”며 “국민을 개나 돼지쯤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도저히 못 할 일”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