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원유철 대표 “논의기구 구성할 것”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20대서 폐지 추진시한 안 정해 개원 후도 ‘2개 정당’ 가능성

연합뉴스

악수하는 주호영과 원유철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오른쪽)가 14일 국회에서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와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20.5.14
연합뉴스
연합뉴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한국당 원유철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조속한 합당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당은 각 당에서 2명씩 참여하는 합당 논의 기구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그러나 양측은 합당 시한에 대해선 “최대한 빨리한다는 데만 합의했다”고 답했다. 이들은 또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 “20대 국회 내 폐지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도 밝혔다. 이 부분은 여당과의 협상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추후 갈등의 불씨가 될 여지가 있다. 다만 주 원내대표는 준연동형 비례제 폐지가 합당의 전제 조건이냐는 질문에는 “선거법과 합당은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한국당은 15일 당선자 총회를 열어 원 대표의 임기와 합당 문제 등을 논의한다. 당헌에 따라 오는 29일로 정해져 있는 원 대표 임기를 연장할지가 쟁점이다. 20대 국회 임기 내에서 합당을 마무리한다면 원 대표의 임기 연장은 불필요하다. 반대로 임기를 연장한다면 21대 국회 개원 후까지 한국당이 독자 생존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당 당선자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한 당선자는 “비상대책위원회 등 통합당 지도체체의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된 뒤 합당하는 것이 더 의미 있는 합당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4·15 총선 과정에서 한국당으로 이적했던 현역 의원들도 의견이 제각각이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한국당을 오래 둘 것은 아니지만, 허둥지둥 합당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유불리를 따져 봐야 한다”고 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20-05-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