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미래통합당 의원 중)아직도 20대 국회에 있는 분들 많이 있다”고 꼬집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미래통합당은 변화된 정치상황이라는 것을 인지했으면 한다. 요즘에도 언론이든 나와서 발언을 보면 아직도 20대 국회에 있는 분들이 많이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 대표는 이에 앞서 “미래통합당에 강력하게 말씀드린다. 21대 국회에서 최고의 협치와 상생은 법정 시한 내 개원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민주당은 일하는 국회를 최우선으로 하고 간행을 핑계로 발목잡는 일이 결코 허용되선 안 된다”고 말했다. 원내대표 간 협상에서 개원 시점을 주제로 협상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력하게 주장한 셈이다.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도 이 같은 점을 함께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법에 정해진대로 국회 문을 열어야 한다”며 “국회법은 임기 시작 후 7일째 되는 날에 첫 본회의를 열고 국회 의장단 선출하도록 규정했다. 상임위원장 첫 본회의 이후 3일 이내 선출해야 한다. 국회법 정해진 대로 5일에 의장단 뽑고 8일까지 상임위원장도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21대 국회는 시작부터 과거에 잘못된 관행과는 단절해야한다”며 “국회법을 지키는 새로운 전통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김 원내대표는 “김종인 비대위원장 역시 역시 파격적인 변화를 강조했다. 미래통합당의 변화는 새 국회 만드는 것으로 이어져야한다”고 압박했다. 그러면서 “국회 정시 개원보다 더 확실한 변화는 없다”며 “정시 개원으로 새 국회 시작할 수 있도록 통합당의 협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