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우규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어디서 누구에게 확인해서 저렇게 단정적으로 이야기했는지 모르겠지만, 명백한 거짓”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진 전 교수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당 ‘온(On)국민 공부방’의 첫 강연자로 나서 문 대통령에 대해 “달은 혼자 빛을 내지 못한다”며 비판했다.
그는 “사실 문 대통령은 정치할 생각이 없이 도망 다녔다”며 “친노 폐족들이 노무현 팔아먹고 있는 걸 웬만한 자기 철학이 있는 대통령이라면 막았을 텐데 그 분한테 주도권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다보니 변수가 되지 못하는 거다”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윤미향 사태와 관련해 (문 대통령이) 이야기한 걸 봤는데 읽은 게 없다”며 “그다지 대통령 비판을 잘 안 하지만 별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고, 오히려 대통령은 참모들에 의해 좀 만들어지는 게 아닌가 이런 느낌이 굉장히 강하다”고 덧붙였다.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전 대통령비서실 국민소통수석) 페이스북
이어 “두세 꼭지를 올렸는데 한 꼭지만 채택되고, 다른 한 꼭지는 당신이 직접 채택한 이슈를 연필로 적어 보낸 적도 있었다”면서 “이를 증언해 줄 이는 차고 넘친다. 청와대 현직에 있는 사람들이야 입이 있어도 말을 못 하겠지만, 국회에 가 있는 이들 중에도 이를 지켜본 이들은 꽤 있다”고 강조했다.
하승창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도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문 대통령이 남이 써준 것 읽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대체 진중권씨는 무엇을 보고 누구에게 들은 것일까”라고 반박했다.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전 대통령비서실 국민소통수석)도 페이스북을 통해 “자기가 보지 않은 사실을 상상하는 건 진중권씨 자유입니다만 그걸 확신하고 남 앞에서 떠들면 뇌피셜(근거 없이 혼자 생각해서 내린 결론)이 된다”면서 “남을 비판하고 평가할 때 꼭 참고하라. 저는 직접 지켜봤기에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글과 함께 과거 문 대통령이 원고를 고치는 모습과 자필로 수정한 원고를 촬영한 사진을 함께 올리기도 했다.
진중권 “문 대통령이 철학이 없다는 뜻” 재반박이 같은 반박에 진 전 교수는 재차 “문 대통령이 철학이 없다는 뜻”이라며 재반박에 나섰다.
그는 “내 말을 앵무새처럼 남의 글을 그대로 읽는다는 뜻으로 이해한 모양”이라며 “원고 교정도 안 한다는 뜻이 아니라 애초에 연설에 자기 철학이 없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내 식구 철학’과 ‘양념’ 발언 빼면 기억나는 게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념’이란 19대 대선 후보를 뽑는 더불어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열성 지지자들이 다른 후보를 ‘문자폭탄’ 등으로 공격한 것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자 “경쟁을 흥미롭게 만들어 주는 양념 같은 것”이라고 두둔한 것을 뜻한다.
진 전 교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 연설문을 보면 치열한 고민의 흔적, 평생에 걸쳐 형성해 온 철학을 읽을 수 있다. 시대정신이 담겨 있다”면서 “문 대통령의 연설엔 빠져 있는 것”이라고 했다.
또 전직 참모들이 일제히 반박에 나선 것에 대해 “(문 대통령이) 친구(노 전 대통령)는 참 잘 두셨는데, 참모는 좀 잘못 두신 듯”이라고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