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콧’ 통합당 대응방안 골머리
박병석 의장 찾아 강제배정 철회 촉구김종인 “여당 횡포 어떤 결과 초래했나”
사의 주호영 원내대표 복귀 설득 나서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통합당 국회의장실 항의 방문
상임위원회를 강제 배정당한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16일 이에 반발하며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항의하기 위해 의장실을 단체로 방문하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긴급 회의를 열고 “1979년 야당 총재인 김영삼(YS) 총재를 당시 집권 세력이 다수의 횡포로 제명했던 게 어떤 정치적 결과를 초래했나”라며 “모든 책임은 결국 여당 스스로가 질 수밖에 없다”고 힘으로 밀어붙인 여당의 독단적 국회 운영을 비판했다. 1979년 집권당이 신민당 김영삼 총재를 제명한 후 부마 민주항쟁과 10·26 사태가 일어났던 사실을 짚은 것이다. 김 위원장은 3선 이상 중진 의원들과 간담회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지만 특별한 결과를 내놓지는 않았다.
원 구성 협상 결렬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한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부터 칩거에 들어갔다. 통합당 비대위는 성일종 비대위원을 급파하는 등 여러 경로로 주 원내대표에게 사의의 뜻을 거두도록 설득했으나, 주 원내대표는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협상하면서 얼굴도 상당히 상한 것 같아 며칠 쉬시라고 했다”며 “(주 원내대표가) 당연히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당은 주 원내대표 재신임이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176석 거대 여당이 법제사법위원장을 가져가겠다고 작정한 상황에서 야당은 마땅한 협상의 지렛대가 없었기에 책임을 주 원내대표에게 묻기는 무리라는 게 대체적인 정서다. 또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도 작용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당도 이날 여야의 협의 없이 시작된 국회 운영에 항의의 뜻을 보탰다. 외교통일위원회를 배정받은 이태규 의원은 이날 첫 회의에 참석해 “합의 안 된 상임위 배정 후 일방적 소집은 어떤 명분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송영길 외통위원장에게 산회 후 통합당 의원까지 참석한 회의를 다시 열어 줄 것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퇴장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20-06-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