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최배근 너무 적은 정보로 너무 판단 말길”

김상조 “최배근 너무 적은 정보로 너무 판단 말길”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7-17 09:39
수정 2020-07-17 09: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17일 KBS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조언과 비판은 감사하게 생각하는데 너무 적은 정보로 너무 많은 판단을 하시지 않기를 바란다”고 비판했다.

김 실장은 “최배근 교수님 하시는 말씀을 저도 자주 듣고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러면서 김 실장은 “밖에서 기재부와 청와대 정책실이 어떤 협업 관계를 갖고 있는지는 아시기가 어려울 것 같다”며 “그것은 너무 과도한 비판이사고, 협업을 하고 있고 한국판 뉴딜은 분명히 대통령의 어젠다”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진행자가 “최배근 교수 오면 그 말씀을 제가 한 번 더 여쭤보겠다”며 마무리를 짓는데도 “인간이 저지를 수 잇는 가장 큰 실수가 너무 적은 정보로 너무 많은 판단을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정부가 이미 당정 간을 통해서 의견을 정리했다”며 “거기에 관련한 논란을 풀어가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지 청와대 정책실장에서 새로운 워딩을 듣고자 하는 것은 올바른 언론의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