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혁신위원회 발족식에서 심상정 대표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5. 2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5월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혁신위원회 발족식에서 심상정 대표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0. 5. 24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지난 5월 출범해 정의당을 ‘새로운 당’으로 만들겠다던 정의당 혁신위원회가 결국 단일 혁신안을 내놓지 못한 채 두 개의 안을 놓고 당원들에게 의견을 물을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 혁신위는 지난 3일 회의에서 혁신 최종안을 사실상 복수로 구성해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정의당 혁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혁신위 내부에서는 처음에는 다 달랐지만 논의하는 과정에서 크게는 2개의 그룹으로 나뉜 상태”라며 “한쪽은 사회운동과 연대하고 지역중심으로 당을 재편하는 동시에 탈자본주의를 추구하면서 집단지도체제를 추구하자는 것이고 다른 한 편에서는 원내 중심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당비를 인하해서 지지자 중심 정당으로 가자는 입장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쉽게 설명해 정의당 혁신위는 전통적인 지역 노동자 중심 진보정당으로의 방향성과 당원을 확대해 그들을 중심으로한 대중적 정당을 놓고 논의해온 셈이다. 그러나 이들 간에 협의게 속 시원히 이뤄지지 않았고, 그 결과 이도저도 아닌 현재 정의당의 갈등만을 보여주는 ‘혁신안 초안’이 탄생했다.
지난달 19일 혁신안 초안을 두고 당 내에서 ‘맹탕 혁신안’이라는 비판이 나왔지만, A안과 B안으로 나눠 의견을 묻는 것은 더욱 무책임하다는 비판도 있다. 세달에 가까운 기간 동안 혁신을 하겠다며 나선 것인데 결국 당원에게 짐을 떠넘긴 셈이기 때문이다. 정의당 혁신위는 다음주 초까지 혁신안을 완성해 이를 바탕으로 오는 15일 전국위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더불어 정의당은 당대표와 부대표 선출 등을 위한 전국동시당직선거를 위한 일정을 정했다. 오는 31일 공직후보선출을 위한 선거공고를 하고, 다음달 3~4일 이틀간 후보등록을 거쳐 16~19일에는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이어 20일에는 현장 투표, 21일에는 ARS 투표를 진행한 후 21일 개표한다. 결선투표는 22~25일 온라인 투표, 27일 ARS 투표, 27일 개표 순으로 진행된다. 당대표 후보로는 윤소하 전 원내대표, 김종민 현 부대표 등이 언급된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