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은 활용할 길이 없는 저주…철거가 답”


이상돈 전 의원 뉴스1. 생각에 잠겨있는 이재오 전 의원 서울신문.
MB계인 이재오 전 의원은 “4대강 보는 물이 많이 흐르면 저절로 수문이 열려 물을 흘려보내는 자동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다. 4대강 16개 보를 안 했으면 이번 비로 나라의 절반이 물에 잠겼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성동 무소속 의원 역시 “홍수의 원인이 4대강 보에 있는 것처럼 호도하지 마시고, 가뭄과 홍수 예방에 자신 있으면 지금 즉시 4대강 보를 파괴하시라”며 이같은 주장을 폈다.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이상돈 전 민생당 의원은 11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이런 걸로 홍수를 막았다는 것은 세상에 없는 일”이라며 과거에도 4대강 사업이 치수에는 별 효과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통합당이 홍수 피해를 막았다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구 뉴스1

집중호우로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하면서 4대강 사업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4대강 보가 홍수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의견과 없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사진은 대구 달성군 낙동강 강정고령보의 수문이 열려 물이 방류되는 모습.
대구 뉴스1
대구 뉴스1
이 전 의원은 “(4대강 사업은) 과학하고는 관계없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의 망상이고 완전히 대사기극이다. 서울에서 한강에서 부산까지 배를 타고 배가 산맥을 넘어가는 대운하, 세상에 둘도 없는 코미디”라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그는 “섬진강은 (다른 4대강처럼) 제방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옛날 제방이 그대로 있었던 건데 이번에 엄청나게 비가 오고 댐 방류와 겹쳐 물난리를 겪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의원은 “4대강은 활용할 길이 없다. 녹조를 활용하나? 완전 제로다. 관리비용만 든다. 사업한다고 유지한다고 돈 엄청 많이 썼다. 저주가 돼버렸다. 비용 면에서도 완전 철거가 싸다고 본다”는 견해를 밝혔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