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석 정도야” 만성이 된 여야 ‘문제 의원’ 꼬리자르기

“1석 정도야” 만성이 된 여야 ‘문제 의원’ 꼬리자르기

이하영 기자
입력 2020-12-23 16:33
업데이트 2020-12-23 16: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이 22일 국회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이 22일 국회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편법 증여 의혹과 부친의 기자 매수 논란으로 전봉민 의원이 국민의힘을 자진 탈당하면서 또다시 정치권의 ‘꼬리 자르기’가 반복됐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21대 국회 들어서만 더불어민주당에서 이상직 의원, 국민의힘에서 박덕흠 의원 등이 자진 탈당하며 논란을 임시 봉합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23일 전 의원에 대한 감사 조치와 관련, “본인에게 해당 사안 소명서를 제출받았고 당 감사를 시작하겠다고 알렸는데 그런 (탈당) 결정을 내렸다”며 이 문제가 당의 손을 떠났음을 시사했다. 지난 9월에 수천억원대 피감기관 공사를 수주한 의혹을 받았던 박 의원도 탈당하면서 당의 진상조사특별위원회는 흐지부지됐다.

그러자 민주당은 이날 ‘전봉민 의원 일가에 대한 불법 비리 조사단’을 구성하고 전면 조사에 돌입했다. 야당 의원 논란에 대해 총공세를 펼쳐 지지율 반등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24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9.24 연합뉴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24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9.24
연합뉴스
그러나 꼬리 자르기 행태는 민주당도 다를 바 없었다. 이스타항공 창업주로 대량해고 사태 책임론이 제기된 이 의원도 지난 9월 탈당으로 민주당을 떠나며 당의 부담을 덜어 줬다.

민주당은 탈당한 의원을 오히려 원내 전략에 이용하기까지 했다. 여당은 지난 1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건조정위에 무소속인 이 의원을 ‘야당 몫 위원’으로 올려 쟁점 법안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을 강행 처리하기도 했다. 해당 법안은 이날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여야는 문제 의원과 관련해 서로 거센 공격을 주고받지만 여론의 관심이 잦아든 뒤 후속 조치가 제대로 된 경우는 없었다. 이날까지 각 당에서 탈당·제명된 의원 가운데 국회에 징계안이 접수된 의원은 박 의원뿐이다. 그마저도 징계안 처리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