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5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김원웅 광복회장(왼쪽)으로부터 ‘독립운동가 최재형상’을 받은 뒤 임시의정원 태극기를 들고서 기념촬영 하고 있다. 2021.1.25
연합뉴스
연합뉴스
광복회에 따르면 추미애 장관은 이날 오후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해 김원웅 광복회장으로부터 최재형상을 수상했다.
광복회는 추미애 장관이 일제 후작 작위를 받은 친일파 이해승의 땅 등 공시지가 520억원(시가 3000억원) 상당의 친일재산 171필지의 국가귀속을 위해 재임기간 중 노력한 점을 인정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 제공.

독립운동가 최재형.
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 제공.
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 제공.
이미 자신들이 ‘최재형상’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광복회가 별도로 협의도 없이 상을 만들고, 특정 정치권 인사 등에게 상을 줘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고 독립운동 정신도 퇴색시키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사업회는 “여야를 초월해 국민적 존경을 받는 최재형 선생의 이름을 빌려 상을 수여하는 것은 광복회 정관에 금지된 정치활동”이라며 “김원웅 광복회장 개인의 사욕을 채우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5일 서울 여의도 광복회관에서 김원웅 광복회장으로부터 ‘독립운동가 최재형상’을 받고 있다. 2021.1.25
연합뉴스
연합뉴스
고 최재형(1860~1920) 선생은 러시아 한인사회 독립운동의 대부로 재산 대부분을 항일 투쟁 지원에 쓴 인물이다.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지원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광복회는 최재형 선생의 정신을 기리고자 지난해 이 상을 만들었다.
같은 해 5월 첫 수상자인 고 김상현 의원에 이어 12월에는 유인태 전 국회사무처장이 상을 받았고, 추미애 장관이 세 번째 수상자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