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 통일부의 시간 다시 만들어 가자고 직원들 격려
원희룡 제주지사, “위기가 찾아올 때면 쓰는 북한 치트키” 힐난

연합뉴스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남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하기 위해 직통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장관은 스스로 통장(통일부장관)이라 부르며 “오랜 진통 끝에 남북 간 통신선을 복원했다”면서 “실낱같은 대화의 끈을 희망으로 키워가며 온전히 통일부가 중심이 되어 평화와 남북협력의 길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며 당연히 호언장담하기도 이르다”면서 “여전히 돌밭이 우리를 기다리고 메꿔야 할 구덩이들도 많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시간이 걸려도 할 일은 다해야 한다며, 지뢰밭과 폭풍우에 남북관계의 어려움을 비유했다.
이 장관은 “때로는 인내심과 끈기가 우리의 무기”라며 “겸손하지만 당당한 통일부 식구들의 능력을 저는 믿는다”면서 통일부의 시간을 다시 만들어 가자고, 직원들에 당부했다.
반면 원희룡 제주지사는 “군 통신선 복구는 북한 치트키 쓰려는 문재인 정권의 잔꾀”라고 비판했다.
원 지사는 “국가 운영을 엉망으로 하면서 위기가 찾아올 때면 쓰는 북한 치트키”라며 “잔꾀 부려 국민 기만하려는 시도가 매우 불량하다”고 지적했다.


북한 코로나 방역 모습. 2021.07.27. 노동신문 캡처
원 지사는 남북 관계는 분명 회복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하지만, 정치에 이용하기 위해서 쇼만 하는 것은 오히려 남북 관계를 망치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원 지사는 “국민에게 희망고문이 통하는 시기도, 결과를 보여줘야 하는 시기도 한참 지났다”면서 문재인 정권은 4년간 나라를 망가뜨린 것 외에 성과도 없고, 잘못했다고 사과도 안 하는 ‘철면피 정권’이라고 질타했다.
이날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10시 서해지구 군 통신선 전원을 켜고, 먼저 전화를 해왔다. 군 통신선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한쪽이 통신선 연결 전원을 켜면 상대 쪽에서 즉각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북한이 지난해 6월 9일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반발하며 일방적으로 단절한 지 13개월 만에 남북 군 통신선이 다시 연결된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