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30일 당내 1·2위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한 검증 작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전 대표와의 단일화와 관련해서는 “단일화 생각이 전혀 없다”고 했다.
정 전 총리는 이날 KBS 라디오에서 이 지사를 겨냥 “지역주의 발언과 관련해서 지역적 확장력이 무슨 뜻이냐라고 했는데 거기에 대해서 이 지역적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답변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를 두고는 “탄핵 논란에 대해서 왜 말을 바꿨냐. 원래 평생 죽을 때까지 무덤에 가져가겠다고 했는데 사실 최근에 탄핵에 반대했다고 이렇게 밝혔다”고 했다.
정 전 총리는 이낙연 캠프의 양기대 의원이 이낙연·정세균 단일화를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좀 주제넘은 말씀을 하신 것 같다”며 불쾌함을 표했다. 그러면서 “단일화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지난 27일 전북에서 “두 후보가 단일화를 결선 투표 즈음에 할지, 언제 할지 알 수 없다”며 “이낙연·정세균 대선 후보 간 단일화는 인위적으로 할 수 없고, 국민이나 지지자들이 결정할 수 있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 출신이자 노 전 대통령 탄핵에 저항했던 정 전 총리는 앞으로도 지역주의와 탄핵 문제로 두 후보를 공격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 전 총리는 지난 28일 본 경선 첫 토론회에서 이 지사를 겨냥해 “은연중에 호남 불가론을 얘기한 것으로 읽힌다. 납득이 안 된다”고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이 지사는 “인터뷰 맥락을 보면 지역을 얘기한 게 아니다”라며 “전문을 읽어보면 알 것”이라고 받아쳤다.
이 전 대표를 향해서도 “(탄핵 관련) 태도를 바꾼 이유가 뭔지, 진실이 뭔지 밝히라”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가 “거듭 말하지만 탄핵에 반대했다”면서 “그 당시 민주당(새천년민주당) 내부의 고통을 잘 이해할 것이다. 그것 때문에 내가 말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정 전 총리는 “좀 모호한 것 같다”며 고개를 저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