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앞 둔 文대통령, 손석희 만나 특별 대담

퇴임 앞 둔 文대통령, 손석희 만나 특별 대담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2-04-14 13:26
수정 2022-04-14 1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靑 “임기 5년 소회 밝힐 예정”

25·26일 이틀간 방송 예정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격려 오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04.07 박지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격려 오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04.07 박지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손석희 전 JTBC 앵커와 특별 대담을 한다.

청와대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문 대통령이 이날과 15일 이틀간 청와대 본관과 여민관 집무실, 상춘재 등에서 손 전 앵커와 일대일 방식의 대담을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대담, 문재인의 5년’이라는 제목의 이번 대담을 문 대통령의 퇴임에 맞춰 추진해 왔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은 이번 대담을 통해 지난 5년을 되짚어보고, 국민과 함께 일군 성과와 아쉬움 등을 가감 없이 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임기 내 추진한 많은 일들에 대한 대통령으로서의 고뇌와 심경, 퇴임을 앞둔 소회도 담길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미지 확대
손석희 전 JTBC 대표이사. 연합뉴스
손석희 전 JTBC 대표이사.
연합뉴스
이번 대담은 오는 25일과 26일 이틀에 걸쳐 방송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손 전 앵커에 대한 ‘애정’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이었던 2017년 4월 5일 대선 4차 토론회에서 ‘내각 구성에서 최우선 기준으로 삼을 인사 원칙이 무엇인지 (인물을) 예를 들어서 말해달라’는 사회자인 손 전 앵커의 질문에 “대통합 대탕평의 관점으로 대한민국 드림팀을 구성하고 싶다”며 “국민추천제를 하고 싶다. 손 전 앵커가 추천을 받으면 사양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에 손 전 앵커는 “그 이전에 사양하겠다”며 거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특정 언론인과 일대일 형식의 대담을 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19년 5월에는 송현정 KBS 정치 전문기자와 ‘대통령에게 묻는다’라는 제목으로 전국에 생중계된 대담을 했다.

당시 송 기자는 청와대 인사, 검증 질문에 대한 문 대통령의 발언 도중 문 대통령의 말을 끊는 진행방식을 보여 친문 지지자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어 ‘독재자’라는 단어를 언급하며 논란이 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을 하루 앞둔 9일 오후 8시 30분부터 약 80분간 청와대 상춘재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KBS 특집대담 프로그램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송현정 KBS 기자와 대담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을 하루 앞둔 9일 오후 8시 30분부터 약 80분간 청와대 상춘재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 KBS 특집대담 프로그램 ‘대통령에게 묻는다’에서 송현정 KBS 기자와 대담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KBS 게시판과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항의글이 쏟아졌다. “대통령에게 공격적 언행을 하고 질문 후 대답을 기다리지 않고 말을 끊는 등 시청하는 내내 불편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독재자 발언에 대해 해명하라”, “편파보도에 대해 사과하라”는 식이다.

반면 KBS 기자 출신인 전여옥 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송현정 기자는) 요즘 멸종상태이다시피 한 진짜 방송 언론인”이라며 “그녀는 인터뷰의 진면목을 보여줬다”고 칭찬하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