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릴라전부터 정보전까지…우크라전, 현대전 모든 양상 보여줘”

“게릴라전부터 정보전까지…우크라전, 현대전 모든 양상 보여줘”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2-11-16 17:05
수정 2022-11-16 17: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
“하이브리드전 대비 육해공 합동성 강화해야”

김승겸 합참의장이 16일 합참 JWCA 대강당에서 열린 ‘2022년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16  합참 제공
김승겸 합참의장이 16일 합참 JWCA 대강당에서 열린 ‘2022년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16
합참 제공
우크라이나 전쟁 분석을 통해 우리 군의 합동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가 합동참모본부 주최로 열렸다.

합참은 16일 JWCA 대강당에서 김승겸 의장 주관으로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김태성 해병대사관 등 국방부·합참·각 군 주요 직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11회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올해 토론회는 우크라이나 전쟁 전훈 분석을 통해 합동성 강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전에 대비한 핵심 능력 발전 방향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참가자들은 우리 군이 합참 주도의 체계적인 합동성을 기반으로 핵심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또 미래전장에서 승리를 달성하기 위해 AI·과학기술 강군 건설에 매진하는 데 뜻을 모았다고 합참은 전했다.

김 의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은 군사적·비군사적 수단을 혼합한 하이브리드전,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심리전 및 정보전,사이버·전자전,게릴라전 등 20세기 말부터 전 세계에서 발생한 모든 전쟁의 양상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를 통해 한국이 직면한 전방위 안보위협과 미래전장 환경 변화에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나타난 전쟁양상 변화와 전훈분석, 전망,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김동삼 국방대 교수는 ‘미래 작전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군 구조 발전 방향’ 주제의 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과 전쟁패러다임 변화를 고려한 미래 연합방위 전략과 전 영역 통합작전 구현을 위한 군 구조 최적화 방안을 제시했다.

김선호 국방개혁 전략포럼 대표는 ‘인공지능(AI) 기반 미래 합동전장을 주도할 전력 증강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는 합참 주도로 2010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