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예산안 법정 기한 어겨…8~9일 본회의서 처리 예상


김진표 국회의장이 5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의 축하 난을 전달하기 위해 국회의장실을 예방하는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기다리며 서류를 살펴보고 있다. 2022.7.5 국회사진기자단
김 의장은 2일 입장문을 내고 내년도 예산안의 처리 시한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김 의장은 입장문에서 “헌법이 정한 예산안의 법정 처리시한이 오늘이지만 내년도 나라살림 심사를 마치지 못했다. 국회의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이어 “민생경제를 살리고,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복지를 챙기면서, 나라의 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내년도 예산안의 조속한 처리야말로 국회가 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장관 해임건의안을 두고 곳곳에서 대결 구도를 이어가고 있는 여야 정치권 상황을 꼬집으며 “여야가 의견을 달리하는 ‘정치 현안’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논의하면서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해법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국회의장으로서 최선을 다해 조정·중재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 의장은 정기국회 내 예산안 처리는 반드시 지킬 것을 약속했다. 김 의장은 “국회에 주어진 권한이자 책무를 이행하기 위해 오는 8일과 9일에 본회의를 개최하려고 한다”며 “2014년 국회선진화법 시행 이후 예산안 법정 처리시한을 지키지 못한 경우라도 모두 정기국회 회기 내에 예산안을 처리했고, 이번에도 정기국회 내에 처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1

내년도 예산안 법정 처리 시한을 하루 앞둔 1일 국회에서 주호영(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김진표 국회의장과의 회동 후 합의 불발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뉴스1
뉴스1
다만 이 장관의 해임건의안 처리가 무산된 만큼 민주당은 ‘탄핵소추안’ 직행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어, 이로 인해 여야 격돌 상황이 재현되면 추후 예산 논의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