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검찰 2년간 혐의 못 밝혀”
박지원 “김만배 260억 李와 무관”
‘꼼수 탈당’ 민형배 조기 복당설도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4일 오전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2.12.14 연합뉴스
정 전 장관은 21일 KBS 라디오에서 “당이 지금 절체절명의 위기에 있다”며 “어떤 역할이든 돌 하나라도 쌓는 심정으로 당을 사수하는 것이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이라며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검찰이 근 2년간 조사해도 확정적인 혐의를 밝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예단하는 것이다. 사법 리스크가 아니라 검찰 리스크로 봐야 한다”고 했다.
박 전 원장도 이날 MBC 라디오에서 “이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서 야당 탄압에 대한 투쟁을 하는데 벽돌 한 장이라도 놓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대표 최측근 수사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김용·정진상 두 분이 인정하지 않고 있다. 김만배씨가 (숨겨 뒀다는) 260억원의 돈이 이 대표 집에서 나왔느냐”며 “아무 관계 없는데 왜 자꾸 이 대표와 연결시켜 보도가 되나. 이런 것은 당당하게 싸워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검수완박을 위해 탈당했던 민 의원에 대한 복당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지난 20일 KBS 라디오에서 “박 전 원장 같은 경우는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나간 것이지 않나. 일종의 해당 행위를 한 것”이라며 “박 전 원장은 복당되고 민 의원은 복당이 안 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했다. 앞서 민 의원은 지난 4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검수완박 입법 관련 안건조정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탈당했다.
당 일각에서는 민 의원의 조기 복당을 두고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스스로 ‘위장탈당’을 인정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민 의원이 탈당 당시로 돌아간다면 매우 궁색하고 옹색한 행위였다는 점을 민주당이 인정하는 꼴이 된다”며 “무리해서 조기 복당 시키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2022-12-2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