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국무회의서 “강제동원 문제 풀고 한일 교류 확대” 주문윤석열 대통령은 일제 강제동원 해법에 대해 “대선 공약 실천이자 미래를 위한 결단”이라면서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12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강제 동원 문제 해법은 대선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면서 “대선 때 외교 정책은 한미 경제·안보동맹을 통한 확장억제 강화, 김대중-오부치 정신의 계승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글로벌 중추국가 지향이 핵심 방향이었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한 국무위원들에게 강제동원 해법에 관해 “취임 초부터 외교부에 해결방안을 주문했고, 그동안 여러 우여곡절을 통해서 우리 정부의 결단을 내린 것”이라면서 “강제동원 문제를 조속히 풀어내고, 한일 간 경제·안보·문화 분야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들께 약속한 선거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는 점을 확실하게 인지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실은 이 발언을 유튜브 쇼츠 영상으로 공개하면서, 윤 대통령 집무실 책상에 놓인 ‘The Buck Stops Here’(모든 책임은 내게 있다)라는 문구도 부각했다. 대통령실은 또한 보도자료에서 윤 대통령의 결단에 대한 반기문 전 총장 등 국제 사회의 지지 표명을 소개하기도 했다. 대통령실이 이번 강제동원 해법과 관련해 ‘한일관계를 풀기 위한 윤 대통령의 책임 있는 결단’이라고 강조하면서 윤 대통령의 방일 전 적극적인 여론 설득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이날 “피해자분들의 실질적 권리 구제와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쓰는 동시에,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는 해법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를 이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혜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