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문위 소위, 서남수·유영익 고발 등 논란에 파행

교문위 소위, 서남수·유영익 고발 등 논란에 파행

입력 2014-02-17 00:00
수정 2014-02-17 0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감보고서 채택과정서 野 “고발·감사원감사”…與 거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의 법안심사 소위가 17일 지난해 국정감사 과정에서 서남수 교육부 장관과 유영익 역사편찬위원장의 자료제출 거부 및 위증 논란에 대한 책임 추궁을 놓고 파행했다.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채택 과정에서 우편향·왜곡 논란을 빚은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와 관련해 서 장관과 유 위원장에 대한 야당의 위증 혐의 고발 및 감사원 감사 요구를 새누리당이 거부하면서 이날 오전 8시 교문위 법안심사 소위가 야당의 집단 불참으로 파행을 빚은 것이다.

이 때문에 소위는 여당 의원들 단독으로 진행됐다.

야당 간사인 민주당 유기홍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너무 명백히 위증 혐의가 드러난 유 위원장에 대해서는 고발을 해야 하고, 서 장관은 원래 고발을 해야 하는데 최소한 감사원 감사라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위원장은 지난해 국감에서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추구한 친북 반미 정책의 부당성을 과감하고 예리하게 비판해 10년간의 좌파정권을 퇴진하는데 기여했다’는 등의 과거 발언에 대한 야당의 추궁에 “기억이 없다”고 답해 위증 논란이 제기됐다.

앞서 민주당은 서 장관에 대해 교학사 역사교과서에 대한 원칙 없는 수정기회 부여 등을 이유로 해임건의안을 제출했지만 본회의에서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됐다.

민주당은 법안심사 소위 불참에도 이날 오전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가 예정된 교문위 전체회의에는 참석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