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년 만에 아시아 지역을 다시 찾았다. 5일부터 10일간 인도와 인도네시아,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와 서남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을 방문한다. 중간선거 참패로 어느 때보다 발걸음이 무겁지만, 그런 만큼 이번 아시아 순방은 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꽉 막힌 국내 정치상황의 돌파구를 찾는 측면도 있으나 날로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진지 구축이 시급하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2011년이 오바마가 취임 당시 피력한 아시아 중시 외교가 본격화하는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오바마는 내년부터 아시아 16개국 정상들이 참석하는 동아시아 정상회의에도 참석하는 등 아시아 중시 외교를 말이 아닌 행동으로 실천해 나가게 된다.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오바마가 가장 공을 들이는 곳은 인도다. 이는 백악관이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과 관련된 사전 브리핑에서도 드러난다. 인도 방문 목적과 의미에 대해 별도로 브리핑을 할 정도로 신경을 쓰고 있고, 오바마 대통령의 체류기간도 3박 4일로 취임 후 해외 단일 국가에서 보내는 최장 기간이다.
이미지 확대
인도 뭄바이 중심가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국빈방문을 환영하는 대형 입간판이 5일 등장했다. 뭄바이 AF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인도 뭄바이 중심가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국빈방문을 환영하는 대형 입간판이 5일 등장했다. 뭄바이 AFP 연합뉴스
오바마 대통령은 앞서 취임 후 첫 국빈방문 정상으로 만모한 싱 인도 총리를 백악관에서 맞았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인도를 “21세기를 대표하는 파트너”로 부를 정도로 중시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견제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이은 세계 2위의 인구대국이면서 연 8% 이상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무엇보다 중국과 달리 민주주의 국가로 다양성이 인정되는 사회라는 게 인도에 대한 미국의 인식이다. 경쟁과 협력이 가능한 관계로 보고 있는 것이다. 경제적으로도 장차 중국을 견제하고 대체할 거대한 수출시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각별하다. 이번 인도 방문 중에 하루를 통째로 미국·인도 경제인 서밋에 할애할 정도로 양국 경제협력 확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오바마 대통령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라는 개인적인 인연 이외에 테러방지를 위해서도 협력이 중시되는 나라다.
그러면서 전통적인 아시아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과는 동맹관계를 더욱 강화해나간다는 구상이다. 한국과는 그 어느 때보다 관계가 돈독하지만, 한·미동맹을 안보 동맹에서 경제 동맹으로 한 단계 격상시키기 위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1-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