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수교 20년] “양국 마찰 상대 입장서 이해를”

[한·중 수교 20년] “양국 마찰 상대 입장서 이해를”

입력 2012-01-02 00:00
수정 2012-0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딩창 베이징大 한국학 교수

“중국과 한국은 수천년 교류의 역사가 있습니다. 근현대에 와서 가슴 아픈 역사가 있었고, 대치 관계에 놓인 적도 있지만 서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교류하면 양국 모두 발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미지 확대
베이징대 한국학연구중심 주임(소장)인 선딩창(61)교수는 “양국 관계는 수교를 맺은 지 20년 밖에 안 됐지만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다.”면서 “북한 문제와 역사 문제, 네티즌 여론 등과 관련해 일부 마찰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반세기간 격리돼 있다가 친구가 된 만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본다.”며 양국 관계를 낙관적으로 바라봤다.

선 교수는 남·북한을 두루 경험한 한반도 전문가이다. 평양 김일성종합대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평양 주재 중국대사관에서 교육관으로 재직했으며, 1994~9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방문학자로 근무했다. ‘한국 외교와 미국 관계’ 등 전문 저서와 더불어 한국 단편소설과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기행문 등 20여편의 번역서를 냈다.

선 교수는 “천안함·연평도 사건으로 한국 정부와 국민에게 중국의 이미지가 나빠지고, 고구려 역사 문제와 일부 네티즌의 혐한(嫌韓) 문제 등이 불거져 안타깝지만 많은 부분이 오해로 인한 것인 만큼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천안함 사건과 관련 한국이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과대 평가한 측면이 크다.”면서 “서로를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중 3국 관계의 전망에 대해선 “한·미와 중·조(북한)관계의 두 가지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며 말을 아꼈다.

베이징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2-01-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