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 첫 회의

2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 첫 회의

입력 2013-09-02 00:00
수정 2013-09-02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년만에 상설협의체 부활… 재가동 시점 등 우선 논의

남북 간 상설협의체인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공동위)가 2일 개성공단에서 첫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남북 간 상설협의체 가동은 2010년 5월 북한이 우리 정부의 ‘5·24 대북제재 조치’에 반발해 개성공단 내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경협사무소)를 폐쇄시킨 이후 3년 만이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14일 개성공단 7차 실무회담에서 공동위 구성에 합의한 뒤 후속 협의를 거쳐 ▲출입·체류 ▲투자보호 및 관리운영 ▲통행·통신·통관 ▲국제경쟁력(국제화) 등을 논의할 4개 분과를 설치하고 공동위원장과 분과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했다.

공동위원장은 우리 측에서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이, 북측에선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맡았다.

이번 회의는 공동위를 이끌어갈 남북 당국자들의 상견례를 겸한 자리로 개성공단 재가동을 비롯한 ‘발전적 정상화’의 구체적인 방안이 우선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 측은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 문제를, 북측은 조속한 공단 재가동을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논의가 진전되면 합의문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남북은 분기별로 공동위 회의를 한 차례 갖되, 개성공단이 정상화 될 때까지 당분간은 수시로 만날 예정이다. 개성공단 내에는 상시적 협의를 위해 사무처가 설치된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9-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1 /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