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풍계리 3번 갱도 ‘위장막’… 韓·中은 오늘 대북제재 조율

北 풍계리 3번 갱도 ‘위장막’… 韓·中은 오늘 대북제재 조율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16-09-21 22:50
업데이트 2016-09-21 2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6차 핵실험 감행 가능성

3번 갱도 위장막 그간 공개 안 돼… 정부 “핵실험 준비 마친 것” 평가
연쇄적 핵미사일 도발 위협 고조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3번 갱도 입구에 대형 위장막을 설치한 것으로 21일 확인돼 조만간 6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날 ‘신형 로켓엔진 분출시험’으로 예고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과 함께 연쇄 핵미사일 도발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북한이 지난 9일 5차 핵실험을 실시한 2번 갱도 입구와 추가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큰 3번 갱도 입구에 모두 대형 위장막을 설치했다”며 “갱도 입구의 위장막은 5차 핵실험 이전에 설치됐다”고 밝혔다. 2번 갱도 입구에 설치된 위장막이 핵실험 이후에도 철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최근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인 ‘38노스’가 공개한 위성사진에서 드러났지만, 3번 갱도 입구에 위장막이 설치된 사실은 그간 공개되지 않았다.

군 당국은 3번 갱도에서 지금껏 핵실험을 한 번도 하지 않은 만큼 이곳에서 6차 핵실험을 진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갱도 주변 상황은 5차 핵실험 직전의 상태와 동일하다”면서 “언제든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것으로 평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의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은 1번 갱도에서, 2차(2009년 5월 25일)·3차(2013년 2월 12일)·4차(2016년 1월 6일) 핵실험은 2번 갱도에서 실시됐다.

다른 소식통은 “김정은이 지난 8월 사변적인 행동 조치를 계속 보일 것을 지시한 이후 16일 만에 5차 핵실험을 했다”며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당 기념일 등 의미 있는 날을 선택해 핵실험과 백두산 계열의 ICBM 발사 도발 등의 행동 조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는 22일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대북 제재를 포함한 북핵 해법을 논의하기로 했다.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한·중 외교 당국자가 직접 만나 북핵 문제를 논의하는 건 처음이다.

한편 미국 뉴욕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총회에 참석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유엔 회원국은 북한이 정말 회원국으로 자질을 갖췄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북한의 회원국 자질 문제를 거론했다. 앞서 4차 핵실험 이후에도 오준 주유엔 한국대사가 이 같은 문제를 거론하며 북한을 압박한 적이 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09-22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