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올림픽 참석 여부는 한국이 결정”… 반중보다 동맹 규합 우선

美 “올림픽 참석 여부는 한국이 결정”… 반중보다 동맹 규합 우선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12-14 22:36
수정 2021-12-15 02: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교적 보이콧’ 각국 결정 원칙 강조

국무부 “참가 여부 한국 대통령이 결정
미국·다른 국가가 대신 내릴 일 아니다”
美 동맹국 몰아붙이면 리더십 손상 우려
中 대응따라 더 강한 보이콧 요청할 수도

이미지 확대
文대통령·호주 총리 산책하며 대화
文대통령·호주 총리 산책하며 대화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시드니 총리 관저에서 열린 만찬에 앞서 스콧 모리슨(오른쪽) 호주 총리와 산책하며 대화하고 있다.
시드니 연합뉴스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발언한 데 대해 미국은 ‘각국의 결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각 동맹국의 사정을 감안하지 않고 ‘반중 움직임’ 동참을 일방적으로 요구할 경우 외려 민주주의 동맹의 결집에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절리나 포터 국무부 부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올림픽 참가에 대한 한국 대통령의 결정은 그들이 내려야 하는 일”이라며 “미국이나 다른 국가 정부가 대신 내릴 일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동맹의 결정은 그들의 몫’이라는 원칙은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이 지난 6일 “미국의 외교적 대표단을 베이징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처음 보이콧 소식을 발표했을 때에도 언급됐던 말이다.

백악관은 당시 약 110개국이 참가한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앞두고 보이콧을 발표하면서 회의 참가국의 동참을 유도했다. 하지만 미국 중심의 정보동맹인 ‘파이브 아이스’ 소속인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은 보이콧 동참을 선언한 반면 중국과 경제관계가 깊은 한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은 보이콧 불참 입장을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동맹국의 각기 다른 사정을 감안하지 않고 몰아붙인다면 외려 글로벌 리더십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이날 연설에서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해 “미국 중심 세력과 중국 중심 세력의 경쟁이 아니다. 모든 국가가 자유롭게 자신의 길을 택할 수 있는 권리를 보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다만 향후 중국의 대응에 따라 미국이 동맹국에 보다 강하게 보이콧 동참을 요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포터 부대변인은 이날 “백악관은 우리의 결정을 발표하기 전에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협의를 했다. 우리는 신장 지역에서 중국의 지독한 인권유린 및 잔학행위에 직면해 외교적 보이콧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1-12-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