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해 12월25일 두만강을 건너 무단 입북한 한국계 미국인 로버트 박(28)씨를 억류 42일 만에 석방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5일 “해당기관에서 우리나라에 불법 입국했던 미국 공민 로버트 박을 억류하고 조사한 결과 미국 공민은 조선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들어오게 됐다.”면서 “자기가 저지른 행위를 인정하고 뉘우친 점을 고려해 해당 기관에서 관대하게 용서하고 석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언제, 어떤 방식으로 풀어줄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박씨 석방 결정을 전하면서 북·미관계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박씨의 입북 사건을 지극히 개인적일 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북·미관계 개선 조치의 일환으로 분석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미국에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하며 6자회담 참여 가능성을 시사하는 가운데 6자회담 개최에 사전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로버트 박 문제를 해결, 사전 정지작업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조선중앙통신은 5일 “해당기관에서 우리나라에 불법 입국했던 미국 공민 로버트 박을 억류하고 조사한 결과 미국 공민은 조선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들어오게 됐다.”면서 “자기가 저지른 행위를 인정하고 뉘우친 점을 고려해 해당 기관에서 관대하게 용서하고 석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언제, 어떤 방식으로 풀어줄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박씨 석방 결정을 전하면서 북·미관계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박씨의 입북 사건을 지극히 개인적일 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북·미관계 개선 조치의 일환으로 분석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미국에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하며 6자회담 참여 가능성을 시사하는 가운데 6자회담 개최에 사전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로버트 박 문제를 해결, 사전 정지작업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0-02-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