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권력’ 김정일 건강이 김정은 후계 연착륙 열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대인 셋째 아들 김정은을 후계자로 공식화했다.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청년대장’ 김정은이 지난 27일 인민군 대장 칭호를 받고, 28일 44년 만에 열린 조선노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자리까지 꿰차면서 김 위원장에서 김정은으로의 권력 승계 과정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노동당 대표자회 참석자들의 기념 사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현재 부인인 김옥(원안 오른쪽)으로 보이는 여성이 서 있다. 김옥 옆에 있는 여성은 김 위원장의 막내딸인 김여정으로 추정된다. 가운데 사진은 2000년 조명록 국방위 제 1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동행한 김옥. 오른쪽 사진은 스위스 베른 헤스구트 공립학교 재학 시절의 김여정.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옥과 김여정?
노동당 대표자회 참석자들의 기념 사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현재 부인인 김옥(원안 오른쪽)으로 보이는 여성이 서 있다. 김옥 옆에 있는 여성은 김 위원장의 막내딸인 김여정으로 추정된다. 가운데 사진은 2000년 조명록 국방위 제 1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동행한 김옥. 오른쪽 사진은 스위스 베른 헤스구트 공립학교 재학 시절의 김여정.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노동당 대표자회 참석자들의 기념 사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현재 부인인 김옥(원안 오른쪽)으로 보이는 여성이 서 있다. 김옥 옆에 있는 여성은 김 위원장의 막내딸인 김여정으로 추정된다. 가운데 사진은 2000년 조명록 국방위 제 1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동행한 김옥. 오른쪽 사진은 스위스 베른 헤스구트 공립학교 재학 시절의 김여정.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경희·장성택 등 친족 집단과 측근 리영호·최룡해 등의 급부상에 대한 다른 지도부 인사들의 견제도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건강이 악화되는 등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이들이 주도할 정책이 혼선을 빚거나 예측하기 힘든 상황에 처할 가능성도 있다. 정부 소식통은 “정치적으로는 대내 단속을 위한 대남 공세를 강화하면서도 경제적으로는 손을 벌릴 가능성이 높다.”며 “김정은을 비롯, 장성택 등 신진 권력 그룹에 대한 분석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브루스 클링너 미국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이날 한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오래 살아야 권력 승계가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며 “김정은이 서구에서 교육을 받아 개방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있지만 그렇게 볼 확증이 없으며,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현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김정은은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전향적’ 조치들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위해 남한은 물론 미국, 일본 등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와 관계 개선에 적극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정은의 후계자 공식화에 대한 정치권과 정부의 입장도 엇갈린다. 정치권은 입을 모아 3대 세습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지만 대책에 대해서는 여전히 좌우로 나뉘고 있다. “이번 기회에 더 밀어붙여 스스로 무너지게 해야 한다.”는 입장과 “손을 내밀어 개방개혁으로 이끌여야 한다.”로 맞선다. 정부는 “앞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신중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김정일 시대의 정책이 갑자기 확 바뀌지는 않겠지만 후계구도 구축 과정에서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다.”며 “대북 강경책만 고수할 것이 아니라 어떤 정책이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 머리를 맞대고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10-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