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011년 ‘신년공동사설’에 어느 때보다 많은 시선이 쏠려 있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로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된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세밑에 남북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기 때문이다.
게다가 북한이 공언해 온 ‘강성대국’ 진입 시점이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북한 경제와 주민생활 여건에는 별다른 개선의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반면 북중 경제협력은 최근 들어 상당히 무르익는 분위기다.
북한의 ‘신년공동사설’은 당보(노동신문),군보(조선인민군),청년보(청년전위) 3개 신문의 신년호에 똑같이 실리는 것으로,사실상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년사’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새해 국정운영의 주요 목표와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 관례인데,과거의 예를 보면 연초의 청사진이 유야무야되는 경우가 많았다.
2010년만 해도 북한은 신년공동사설에서 ‘인민생활 향상’의 구호를 전면에 내세웠지만 화폐개혁 실패와 시장폐쇄의 후유증으로 경제난과 주민들의 생활고는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또 미국과 대화를 통해 비핵화와 평화체제 논의를 재개하겠다는 의지를 은연중 피력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자 국제사회의 주의를 끌기 위해 잇달아 대남 도발을 저질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견 공허한 ‘구호’가 가득한 듯한 신년공동사설이 그래도 주목을 받는 이유는 그 행간에 북한의 ‘속내’를 읽고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실마리’들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올해 유난히 많았던 북한의 군사적 도발도 미국과 ‘평화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연초 신년공동사설에서 어느 정도 예고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내년 신년공동사설에서 가장 관심이 쏠려 있는 부분은 당연히 한국과 미국에 대한 언급이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업무보고를 받고,6자회담을 통한 북한 비핵화 실현과 남북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에 대해 북한이 어떻게 나올 지가 초미의 관심거리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관련국들이 6자회담 재개 문제를 협의중이고 한미 양국의 대북정책 방향도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일단 북한은 신년공동사설에서 강온 양면을 모두 보여줄 가능성이 높다”면서 “강경한 입장을 내세우면서 대화의 여지도 남겨 놓는 정도의 메시지가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신년공동사설에 별도로 거론된 전례는 없지만 올해에는 중국과 관계를 언급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올해 두 차례나 중국을 방문할 정도로,국제사회의 제재 속에 정치.경제적 ‘협력자’로서 중국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부각돼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 고위층 출신 탈북자는 “신년공동사설에서 북한이 따로 언급한 나라는 지금까지 한국과 미국 두 나라 외에 없다”면서 “하지만 최근 북중 관계를 감안하면 중국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별도로 언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올해 김정은 후계체제가 공식화된 만큼 주민들의 충성과 결속을 유도하는 데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코앞에 다가온 ‘강성대국’ 실현을 목표로 내걸고 주민들한테 더 많은 노력과 희생을 요구하면서 반대급부로 ‘인민생활 향상’의 핑크빛 청사진을 다시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임을출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자력갱생을 통해 인민생활을 향상시키자는 식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다”면서 “가장 심각한 식량난을 타개하기 위해 특히 식량증산 노력을 강도높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로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된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세밑에 남북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기 때문이다.
게다가 북한이 공언해 온 ‘강성대국’ 진입 시점이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북한 경제와 주민생활 여건에는 별다른 개선의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반면 북중 경제협력은 최근 들어 상당히 무르익는 분위기다.
북한의 ‘신년공동사설’은 당보(노동신문),군보(조선인민군),청년보(청년전위) 3개 신문의 신년호에 똑같이 실리는 것으로,사실상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년사’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새해 국정운영의 주요 목표와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 관례인데,과거의 예를 보면 연초의 청사진이 유야무야되는 경우가 많았다.
2010년만 해도 북한은 신년공동사설에서 ‘인민생활 향상’의 구호를 전면에 내세웠지만 화폐개혁 실패와 시장폐쇄의 후유증으로 경제난과 주민들의 생활고는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또 미국과 대화를 통해 비핵화와 평화체제 논의를 재개하겠다는 의지를 은연중 피력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자 국제사회의 주의를 끌기 위해 잇달아 대남 도발을 저질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견 공허한 ‘구호’가 가득한 듯한 신년공동사설이 그래도 주목을 받는 이유는 그 행간에 북한의 ‘속내’를 읽고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실마리’들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올해 유난히 많았던 북한의 군사적 도발도 미국과 ‘평화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연초 신년공동사설에서 어느 정도 예고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내년 신년공동사설에서 가장 관심이 쏠려 있는 부분은 당연히 한국과 미국에 대한 언급이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외교통상부와 통일부 업무보고를 받고,6자회담을 통한 북한 비핵화 실현과 남북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에 대해 북한이 어떻게 나올 지가 초미의 관심거리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관련국들이 6자회담 재개 문제를 협의중이고 한미 양국의 대북정책 방향도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일단 북한은 신년공동사설에서 강온 양면을 모두 보여줄 가능성이 높다”면서 “강경한 입장을 내세우면서 대화의 여지도 남겨 놓는 정도의 메시지가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신년공동사설에 별도로 거론된 전례는 없지만 올해에는 중국과 관계를 언급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올해 두 차례나 중국을 방문할 정도로,국제사회의 제재 속에 정치.경제적 ‘협력자’로서 중국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부각돼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 고위층 출신 탈북자는 “신년공동사설에서 북한이 따로 언급한 나라는 지금까지 한국과 미국 두 나라 외에 없다”면서 “하지만 최근 북중 관계를 감안하면 중국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별도로 언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올해 김정은 후계체제가 공식화된 만큼 주민들의 충성과 결속을 유도하는 데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코앞에 다가온 ‘강성대국’ 실현을 목표로 내걸고 주민들한테 더 많은 노력과 희생을 요구하면서 반대급부로 ‘인민생활 향상’의 핑크빛 청사진을 다시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임을출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자력갱생을 통해 인민생활을 향상시키자는 식으로 나갈 가능성이 높다”면서 “가장 심각한 식량난을 타개하기 위해 특히 식량증산 노력을 강도높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