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대신 당 실세들이 수행

軍 대신 당 실세들이 수행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성택 세차례 訪中 포함… 위상 과시

20~26일 이뤄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일곱 번째 중국 방문에서는 매제인 장성택 당 행정부장 등 실세들이 수행했지만 군(軍) 인사는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26일 조선중앙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에는 김기남·최태복 비서와 강석주 내각부총리, 장성택 당 행정부장 겸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김영일·박도춘·태종수·문경덕 비서, 주규창 당 기계공업부장,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 등 11명이 수행했다. 이들 중 가장 눈에 띄는 이는 지난해 5월 방중 때 처음으로 수행단에 포함된 후 그해 8월과 이번까지 세 차례의 방중을 모두 수행하며 실세의 위상을 과시한 장성택이다.

장성택은 외자유치 창구인 북한 합영투자위원회를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방중에서 양국 정상 간의 경제협력 방안 논의를 도왔을 것으로 보인다. 장성택은 김정은 후계 체제의 안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북한 정권 내 실세 중의 실세로 꼽힌다. 장성택의 수행은 김정은 후계구도에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고 선전·선동을 총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김기남 비서의 수행과 맞물려 이번 방중 기간에 김정은 후계체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간 김 위원장의 6차례 방중 가운데 다섯 번을 수행했던 북한 군부의 대표적 ‘중국통’ 김영춘 인민무력부장은 이번 수행단에서 빠졌다. 김영춘뿐만 아니라 장성택을 제외하고는 수행단 면면을 보면 군 직책이 없는 ‘당 인사’임이 뚜렷이 확인된다.

6자회담 재개 등 동북아시아 정세와 관련해 강석주 내각부총리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중국에 따라간 것도 눈길을 끈다.

6자회담과 대미외교를 총괄하는 강 부총리는 지금까지 2000년 5월만 빼고 김 위원장의 방중을 여섯 차례 수행한 ‘단골멤버’다.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은 중국을 따로 오가다 이번에 방중 수행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렸다.

김정은 후계 체제가 등장하면서 주목받았던 인사들 가운데 박도춘·태종수·문경덕 비서와 주규창 당 기계공업부장이 김 위원장을 따라 중국에 간 것도 흥미롭다. 문경덕과 주규창은 이번 수행단에 포함됨으로써 후계 체제 안착에 주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방증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5-2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