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북·미 고위급회담 제안] 北, 휴일 중대발표 공세

[北, 북·미 고위급회담 제안] 北, 휴일 중대발표 공세

입력 2013-06-17 00:00
수정 2013-06-17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북대화는 현충일… 북미대화는 일요일

‘북한의 중대 발표는 모두 휴일에만?’

지난 6일 현충일에 맞춰 남북대화를 제의했던 북한이 이번에는 16일 일요일(미국은 토요일) 북·미 대화를 제의했다. 북한의 ‘휴일 공세’가 한두 번이 아니어서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온다.

실제 상대 측이 기념일 준비로 분주하거나 휴일을 보내고 있을 때 북한은 미사일을 쏘거나 불쑥 대화를 제의하는 식으로 허를 찔러 왔다. 2006년 7월 5일에는 미국의 독립기념일에 맞춰 대포동 2호를 시험발사했고, 같은 해 10월 9일 미국의 휴일인 ‘콜럼버스 데이’때는 1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당시 서울에서는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고 있었다.

2009년에는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에 맞춰 5월 25일 2차 핵실험을 단행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불과 이틀이 지난 시점으로, 우리로서도 ‘국민장’ 기간 중이어서 큰 충격이었다. 또 같은 해 10월 12일에는 동해안에서 사거리 120㎞의 KN02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 5발을 발사하기도 했다. 이날 역시 미국 ‘콜럼버스 데이’였다. 3차 핵실험은 박근혜 정부 출범 직전인 2월 12일 실시됐다.

최근에는 군사적 행동보다 대화 제스처를 보내기 위해 휴일을 공략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목적이 어떤 것이든 속내는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며 “취약 시간대를 공략해 상대 측의 신속한 판단과 대응을 방해하려는 게 아니겠느냐”고 분석했다.

상대 측 ‘기운빼기’ 의도도 있어 보인다. 실제 북한이 휴일에 맞춰 매번 ‘대형사고’를 쳐온 탓에 외교안보 부처 관계자들은 휴일에도 늘 비상대기하고 있다. 자신들의 제안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대 측에 이를 각인시키기 위해 휴일이나 기념일 등을 이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6-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