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비판, 설득·소통으로 北변화 위해 노력할것”’탈북자 북송중단’ 촉구 서한 中고위인사에 전달키로
북한이탈주민(탈북자) 출신의 첫 국회의원인 새누리당 조명철 의원이 7일 당직인선에서 북한인권 및 탈북자납북자위원장에 임명돼 향후 역할이 주목된다.조 의원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이 학교 경제학부 교원으로 재직하다 1994년 남쪽으로 넘어왔다.
이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개발협력센터 소장, 통일부 통일교육원장을 거쳐 19대 국회에서 탈북자 출신으로는 첫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조 의원은 전반기 국회에서는 남북관계 및 대북문제 등을 다루는 외교통일위에서 활동했다.
이 때문에 현역 국회의원 가운데 북한 인권과 탈북자, 납북자 현안 등과 관련해 가장 상징성이 있는 인물로 볼 수 있다.
김무성 대표가 조 의원을 해당 위원장에 임명한 것도 이 같은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왕 맡겼으니 제가 당연히 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국회 내에서 북한인권법과 탈북자 관련 법 등 관련 입법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중국이나 제3국에서 떠도는 탈북자들의 인권보호와 이들이 원하는 나라로 갈 수 있도록 국회차원의 적극적 외교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실제 탈북자 27명이 최근 중국에서 체포돼 북송위기에 처해있다는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 조 의원은 오는 8일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을 주한 중국대사관을 통해 장더장(張德江)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위원장, 왕이(王毅) 외교부장, 궈성쿤(郭聲琨) 공안부장 앞으로 보내기로 했다.
조 의원은 “문제를 일으키는 주체는 북한”이라면서 “정당한 비판과 자극, 설득과 소통 등 다각적 방법으로 북한의 변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남북대화나 교류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면서도 “남북관계의 진정한 징표는 남북이 모두 아파하는 부분을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와 관련, “탈북자나 북한인권, 납북자·국군포로·이산가족, 북한 주민의 배고픔 등을 외면한 채 껄렁껄렁한 대화 또는 교류나 하는 것은 진정한 남북관계의 발전이 아니다”면서 인도주의적 문제에 대한 남북 당국의 적극적 해결 노력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