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밀착 가속… 러, WFP 통해 30억원 대북지원

북·러 밀착 가속… 러, WFP 통해 30억원 대북지원

입력 2014-09-04 00:00
수정 2014-09-04 0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한 러 무역대표부 대표 등 9명 4일 개성공단 방문 이례적

북한과의 인적 교류와 물적 지원은 물론 개성공단에 대한 투자 검토까지, 한반도로 향하는 러시아발(發) 바람이 점차 뜨거운 강풍으로 변하고 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3일 러시아가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의 대북사업에 300만 달러(약 30억원)를 기부했다고 전했다. 실케 부어 WFP아시아사무소 대변인은 지난달 러시아로부터 300만 달러를 받았다며 이 자금이 북한 영유아와 산모, 수유모 등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데 쓰일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지난해 초에도 WFP의 대북 지원 사업에 300만 달러를 지원한 바 있다. 특히 러시아의 이번 식량 지원은 13년 만의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북한의 농작물 수확량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뤄진 것이어서 주목된다.

최근 북·러 밀착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북한의 러시아 의존도가 높아지는 형국이다. 지난 5월 러시아가 북한에 채무 10억 달러를 탕감해 준 후 상호 노동자 파견 의정서 체결, 2020년까지 교역 규모 10억 달러 목표, 양국 간 정보기술(IT) 분야 협력 등 접촉면을 넓혀 나가고 있다.

한편 이례적으로 주한 러시아 무역대표부 대표 및 무역 전문가 등 9명이 4일 개성공단을 방문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실사단) 방문은 개성공단 현황을 파악하고 러시아 기업의 개성공단 투자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확대해석을 의식한 듯 “러시아 기업들이 그동안 투자 의향을 밝혔던 만큼 일반 외국 기업이 개성공단에 관심을 보인 것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09-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