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원색 비난 김여정 대남 총괄역 맡았나

靑 원색 비난 김여정 대남 총괄역 맡았나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3-05 01:46
수정 2020-03-05 04: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첫 기명 담화… 국정 관여 가능성

청와대 당혹 속 공식 대응은 자제
이미지 확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지난 3일 밤 자신 명의로 첫 번째 대남 비난 담화를 내면서 그의 정치적 위상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위원장을 보좌하는 것을 넘어 대남 정책을 총괄하고 국정 전반에 관여하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앞서 김 부부장은 ‘청와대의 저능한 사고방식에 경악을 표한다’란 제목의 담화에서 “참으로 미안한 비유이지만 겁을 먹은 개가 더 요란하게 짖는다고 했다. 딱 누구처럼…”이라고 언급하는 등 청와대가 전날 북한의 방사포 발사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 것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북한이 국무위원회나 외무성,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군 당국 직함을 갖고 있지 않거나 직함을 공개하지 않은 사람을 내세워 대남 메시지를 낸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특히 김 부부장이 지난해 12월 선전선동부에서 당의 핵심인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국정 전반에 대한 일정 역할을 부여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4일 “조직지도부를 맡은 데 이어 대남 담화까지 내면서 역할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며 “김 위원장의 신임을 바탕으로 사실상 ‘넘버 2’로 자리잡은 모습”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담화는 4일 발행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나 대내용 조선중앙방송, 조선중앙TV에는 보도되지 않았다. 철저히 계산된 ‘대남 메시지’란 분석도 나온다.

청와대는 공식 대응을 자제했다. 섣부른 대응에 나설 경우 문재인 대통령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남북 협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청와대는 김 부부장이 김 위원장의 ‘분신’이며 2018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백두혈통’으로서 처음 남쪽 땅을 밟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상징적 존재란 점에서 당혹스러운 기색이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0-03-0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