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집중 호우로 임진강 상류 황강댐 물을 방류한 것에 대해 통일부가 “자연 재해 분야에서 정보 공유 등 기초적인 협력이라도 하루빨리 이뤄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5일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밤에 두 차례에 걸쳐서 (임진강 필승교) 수위가 5m 이상 올라간 것으로 우리측에선 파악하고 있다”고 추가 방류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은 지난달 말 이후 최소 네차례 이상 황강댐을 사전 통보 없이 방류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어 “비록 정치, 군사적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더라도 자연재해 분야는 비정치적이고 인도적 분야”이라며 “재해·재난 분야의 협력은 남북 주민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이해를 줄 수 있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계적으로 보면 인접한 외국 간에도 자연 재해와 관련한 정보교환 등의 협조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인데 우리 민족끼리 못할 이유가 없다”며 북측의 황강댐 방류 사전 통보를 요구했다.
이미지 확대
세차게 흐르는 임진강 4일 오후 경기도 연천군 군남댐에서 임진강 상류의 물이 흘러나오고 있다. 북한이 지난 3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 수문을 일부 개방해 지난달부터 세 차례 무단 방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필승교와 군남댐 등 임진강 수위 지표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2020.8.4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세차게 흐르는 임진강
4일 오후 경기도 연천군 군남댐에서 임진강 상류의 물이 흘러나오고 있다. 북한이 지난 3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 수문을 일부 개방해 지난달부터 세 차례 무단 방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필승교와 군남댐 등 임진강 수위 지표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2020.8.4 뉴스1
지난 2009년 북한이 황강댐을 무단 방류하면서 우리측 야영객 6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남북은 실무회담을 열고 방류를 사전 통보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북한은 2013년부터 최근까지 통보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지난 6월 탈북민 대북전단을 문제삼아 남북간 연락선을 중단해 정보 교환이 어려운 상황에 대해선 여 대변인은 “현재 남북 간에는 연락이 두절돼 있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기술적인 방법은 큰 문제가 되지 않으리라 본다”고 했다.
또 북측의 집중 호우 피해상황과 관련 여 대변인은 “피해상황은 강수량과 관련되어있어 막연하게 피해가 예측이 된다고 하긴 어렵다”면서 “다만, 북한지역에서도 홍수로 인한 피해가 가급적이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