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밝힌 일자리 추경 배경
“현재의 실업대란을 이대로 방치하면 국가재난 수준의 경제 위기가 다가올 우려가 있다.”

문 대통령은 “특단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지 않으면 에코붐 세대(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의 주취업 연령대 진입이 계속되는 동안 청년 실업은 국가재난 수준으로 확대될 것이고, 우리는 한 세대 청년들의 인생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저출산 고령화 대책에 아무리 많은 예산을 투입해도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했듯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아야 할지도 모른다”며 시급성을 거듭 역설했다. 특히 ‘재난’이란 단어도 세 번이나 언급하며 현 상황에 대한 냉철한 직시를 주문했다.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 역대 최고의 실업자 수, 2000년 이후 최고의 실업률을 기록한 고용 상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지난 4월 기준 청년실업률은 11.2%, 체감 실업률은 최근 3개월간 24% 안팎으로 청년 4명 중 1명이 실업자다.
문 대통령은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의 소득이 지난해 무려 5.6% 포인트 줄은 반면 소득 상위 20% 계층의 소득은 같은 기간 2.1% 포인트 증가한 데에도 주목했다. 문 대통령은 “제일 잘사는 계층과 못사는 계층 간에 소득 격차가 더 벌어졌다”면서 “특히 주목할 것은 1분위 계층의 소득 감소가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가장 어려운 계층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경제불평등이 심화되는 상황을 내버려두면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위기 의식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이런 흐름을 바로잡지 않으면 대다수 국민은 행복할 수 없다”며 “지속적인 성장도 어렵다. 통합된 사회로 갈 수 없다. 민주주의도 실질이나 내용과는 거리가 먼 형식에 그치게 된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에게 추경은 곧 경제 민주주의와 정치·사회적 민주주의를 지켜 낼 마중물인 셈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06-1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