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日장관 “사전 통보 했다” 주장에 청와대 반박
청와대 “日, 5일 사전 확인 요청 때도 부인해놓고선…”“일본, 사증면제·14일 대기 요청도 전달 안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3.9 연합뉴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스가 관방장관은 9일 ‘외교 루트를 통해 한국 측에 사전 통보했고 발표 뒤에도 정중하게 설명했다’고 말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 부대변인은 “일본은 지난 5일 우리 정부가 일본의 조치 가능성을 감지하고 외교 통로 통해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했을 때에도 관련 사실을 부인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시 우리 정부는 이런 조치의 자제를 요구하는 한편 최소한의 사전 협의나 통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누차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부대변인은 “일본은 아베 신조 총리의 대 언론 공개시점을 전후해서야 입국제한 강화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을 전했다”면서 “사증면제조치 정지, 14일 대기 요청 등 구체적 내용은 전달하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일본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불만을 품고 지난해 7월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핵심 소재 3종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내리는 경제 보복을 예고 없이 단행했다. 이후 8월에는 수출 절차를 간소화해주는 등 수출 우대 혜택을 주는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대상 명단에서 한국을 제외시키는 2차 경제보복을 감행했다.
이후 정부도 백색국가에서 일본을 제외하는 등 맞대응 조치를 취하고 국민들 사이에서는 반일 감정이 격화되면서 일본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었다.

한 참가 학생이 소녀상 뒤로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9.7.26
연합뉴스

경기 의정부시의 부용고, 송현고, 의정부고 등 6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2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 동참 선언 기자회견’을 했다.
한 참가 학생이 소녀상 뒤로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9.7.26
연합뉴스
한 참가 학생이 소녀상 뒤로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9.7.26
연합뉴스


7일 오후 대구 달서구의 한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지역 주민들이 일본 기업 불매운동 릴레이 1인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2019.7.7 뉴스1


일본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반도체 핵심소재 등의 수출을 규제하는 사실상의 경제보복 조치를 내리자 국내에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7일 서울 한 마트에 일본 제품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피켓이 걸려 있다. 2019.7.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